![]()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자료=통계청 제공) |
현재 인구 감소 흐름이 이어지면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절반에 달하며 부양 인구는 생산연령인구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를 발표했다. 자료는 인구총조사 결과와 최근까지의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국제이동) 추이를 반영해 향후 50년(2022~2072년)간의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결과에 따르면, 2072년에는 우리나라 인구 5000만명 선이 무너진다. 통계청은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7만 명에서 2024년 5175만 명 수준으로 증가한 후 감소해 2030년 5131만 명, 2072년에는 3622만 명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는 1977년 우리나라 인구 수준이다.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0.16% 수준으로 감소하고,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72년에는 -1.31% 수준으로 내다봤다.
![]() |
통계청 장래 인구 추계 (자료=통계청) |
반면 고령 인구는 2022년 898만 명(총인구의 17.4%)에서 2030년 1298만 명, 2072년 1727만 명(47.7%)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출산이 계속되면 0세~14세 유소년 인구는 2040년부터 총인구의 10%도 안될 것으로 봤다. 유소년 인구는 2022년 595만 명(11.5%)에서 2040년 388만 명(7.7%), 2072년 238만 명(6.6%)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총부양비도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는 2022년 40.6명(노년 24.4명)에서 계속 높아져 2072년 118.5명(노년 104.2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고령화도 가속화돼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는 2022년 151명에서, 2072년 726.8명으로 4.8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현재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1.1%로 OECD 국가(2022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나 2072년(45.8%)에는 가장 낮아질 전망이다. 총부양비는 2022년 40.6명으로 OECD 국가(2022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나, 2072년(118.5명)에는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