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개발한 '디지털 전환 성숙도 모델'을 해운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모델로 개선하여 한국해운협회 31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단조사를 수행했다. 진단모델은 디지털 전환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부터 도입, 정착, 확산 및 고도화까지 총 5단계로 구분된다.
진단 결과 우리 해운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도입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계는 경영진과 담당 부서가 디지털 전환에 관하여 인식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주요 인프라를 도입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선종별로는 공급사슬이 내륙까지 이어지는 컨테이너선사가 '정착단계'인 반면, 항만간을 수송하는 벌커와 탱커는 '도입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격차는 더 컸는데, 대기업은 '확산단계'에 가 있으나 중견은 도입단계, 중소기업은 검토단계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다.
전반적으로 국적선사가 디지털 전환을 위해 도입한 기술은 원격 근무나 영상회의 등 업무 수행을 위한 인프라 위주였으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플랫폼 구현 등 최신기술 도입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수준을 진단하는 조사와는 별도로 공사는 국적선사 11개사 대상 심층인터뷰를 진행해 우리 해운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했다. 도출된 과제로는 통합해운정보 제공, 정기 디지털 수준 진단 및 컨설팅, 디지털 전환 실증사업 지원, 국적선사간 네트워크(협의체) 운영, ICT 인력양성 및 인프라 구축 지원, 해운디지털 종합지원센터 설치 등이 있었다.
공사는 이번에 도출된 정책과제를 기반으로 중장기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지원사업을 전개해나가는 한편, 정부와 협회 및 유관기관 등과 협업해나갈 계획이다. 현재 공사는 해수부의 '수출입 물류 데이터 공유 플랫폼' 고도화와 운영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공공혁신플랫폼사업을 통해 '스마트선박관리플랫폼'을 기획하고 있다.
김양수 사장은 "이번 해운산업 디지털 전환 수준 진단 및 지원정책 발굴을 통해 매년 해운산업 디지털 수준을 진단하는 체계를 갖추고 발굴된 지원정책을 사업으로 옮기는 한편, 정부와 유관기관 및 협회 등과 협업을 확대하면서 우리 해운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