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유선 책임연구위원 |
언젠가 사석에서 "충청도 것들은 속을 모르겠다"는 말에 발끈했다. 이 말을 한 사람은 자신이 태어난 지역에서 산 기간보다 충청도에서 산 기간이 더 길다. 그의 말이 발화되는 순간 충청도에서 태어나지 않은 자신의 타자로 충청도에서 태어난 그들은 호명된다. 분노의 배경이 '충청도'였는지 '것들'이었는지 자세히 기억나지 않지만, 두 요소가 합해져 마음이 상했던 것은 분명하다. 그때 나는 왜 침묵했을까?
또 다른 사석에서 "남편이 돈 벌잖아"라는 말에 나는 또 발끈했다. 치솟는 집값과 자녀교육비와 관련한 이야기 가운데 나온 그 말은 여러 맥락을 담고 있었다. 여성은 경제활동의 주체라기보다는 보조자라는 그의 인식도 어이가 없었지만, 그래서 자신의 급여가 여성보다 더 높은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가 기가 찼다. 그때 나는 왜 침묵했을까?
늘 이런 식이다. 모든 개인은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의해 차별을 받지 않으며 정체성의 토대를 이루는 것들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은 정의롭지 않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학습하고 합의한 사회에서도 자칫 방심하면 이런 일을 겪게 된다. 동료로서, 친구로서, 이웃으로 평등할 거라는 신뢰와 믿음은 갑작스럽게 가족이, 동료가 혹은 이웃이 들이대는 혐오의 말들로 힘을 잃는다. 도대체 얼마나 이 경멸의 말들을 견뎌야 할까.
60세가 넘은 김명자 씨는 남편에게 그날의 모멸에 대해 말하고 싶다. 흔히 말하는 '도박, 불륜, 폭력'도 아닌데 남편이 뭘 그리 잘못했느냐는 주변 사람의 말도 서운하다. 김명자 씨가 삼십 년 넘게 잊지 못하는 사건은 어린 아들이 감기에 걸려 울던 겨울밤에 있었다. 술을 마시고 들어온 남편은 "애를 싸질러 놨으면 잘 봐야지"라며 애 우는 소리가 듣기 싫다며 밖으로 나갔다. 열이 끓는 아들을 돌보느라 한마디 대꾸하지 못했지만, 김명자 씨는 아직도 그 말이 슬프고 분하다. 그때 김명자 씨는 왜 침묵했을까?
40대 최경희 씨는 자녀 돌봄과 가사, 그리고 직장을 병행하는 워킹맘이자, 커리어 우먼이다. 그녀는 얼마 전 동료와의 대화에서 느낀 모욕감을 그 동료에게 설명하고 싶다. 임신과 출산, 자녀 돌봄과 교육을 하면서, 직장 내 성과 경쟁 속에서 승진의 어려움을 경험한 최경희 씨는 자녀를 낳더라도 돌봄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일을 지속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저출생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옆에 있던 동료는 "싸질러 놨으면 책임을 져야지. 누가 책임을 지느냐고"라며 돌봄의 일차적 책임은 부모라고 말했다. 논리적이지도 예의도, 교양도 없는 그의 말에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소름이 돋았다. 억울하고 분한 마음에 지금도 그를 마주치는 것이 어렵다. 그때 최경희 씨는 왜 침묵했을까?
30대 이수진 씨는 전업주부다. 어린이집에 아이를 데려다주고 학부모들과 아이 예방접종이나 교육, 취업 이야기를 하며 카페에서 차를 마시기도 한다. 가끔 "주부들은 좋겠어. 애는 유치원 보내고, 편하게 커피나 마시고" 이런 식의 힐난을 옆자리에서 듣는다. 이수진 씨는 왜 이런 비난이 카페에 넘쳐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못 들은 척 딴청을 피우지만, 전업주부를 노는 사람 취급하는 것은 억울하다. 그때 이수진 씨는 왜 침묵했을까?
혐오의 말은 시공간을 넘나든다. 30년 전 최경자 씨의 말문을 막은 말은 이어지고 이어져 2023년을 사는 최경희 씨, 이수진 씨, 그리고 우리의 일상이 펼쳐지는 집, 일터, 카페에서 흘러넘친다. 혐오의 말은 시간과 장소를 달리할 뿐이다. 혐오의 말은 화자의 상대편에 타자를 세운다. 내 말이 앞에 선 누군가의 입을 막는다면 내가 입을 닫아야 한다.
/류유선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