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중구 호동에서 발견된 동굴 내부 모습. 직사각형 형태로 내부 암반이 거칠게 깎여 있고 관리인 보관 중인 물건이 보인다. (사진=임병안 기자) |
[보문산 파고든 동굴, 누가 왜?]
1. 바위를 깎고 뚫은 손자국
2. 사금·연탄은 아닌데 굴착
3. 일제 방공호, 짙은 그림자
4. 수탈과 참상의 전쟁유적
5. 잊으면 반복되는데 우리는…
대전 중구 호동의 보문산 비탈면에 암반을 뚫어 조성한 깊이 50m가량의 동굴이 발견됐다. 세로가 긴 직사각형 입구는 성인이 허리를 펴고 들어갈 정도로 크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넓어져 두 명이 나란히 걸어도 어깨가 벽면에 닿지 않을 너비였다. 동굴 안 벽면은 사람이 깎은 흔적이 역력해 바위가 울퉁불퉁하게 거칠게 솟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가지를 뻗은 것처럼 작은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동굴 안 천장과 벽면의 바위는 습기를 가득 머금었고 바닥에는 물이 고여 작은 물길이 만들어졌으나, 동굴의 끝까지 오가는 데 신발이 젖을 정도는 아니었다. 동굴 벽면에는 손가락 세 개가 들어갈 정도의 구멍(천공)이 여러 곳에 남아 있었고, 암반을 정교하게 다듬어 만든 폭 30㎝ 턱이 보였는데 천장 나무기둥을 걸치듯 받쳤을 것으로 보였다. 이 동굴에는 굴착 당시 기둥으로 쓰인 목재가 썩은 상태이지만 그대로 남아 있고, 잔돌을 한쪽에 가지런히 쌓아 올린 것도 원형으로 보존된 상태다. 2002년께 지금의 관리인이 입구 앞에 집을 짓고 굴에 쌓인 토사를 걷어내서야 최초 조성 당시의 원형이 지금처럼 드러났고, 밖에서는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는다.
대전 호동 동굴 벽면에 남은 착굴 흔적. 직각 형태로 깎아 기둥 받침턱으로 사용되고 화약을 넣는 구멍으로 추정된다. (사진=임병안 기자) |
중도일보 취재진이 찾은 보문산 동굴은 이곳만이 아니다. 호동 동굴에서 직선거리로 500m 떨어진 석교동에 중도일보가 찾은 두 번째 인공 동굴이 있다. 이곳도 산비탈에 입구를 내 바위를 굴착한 형태로 깊이는 직선으로 대략 20m 되고 고개를 들고 걸어도 천장이 머리에 닿지 않을 정도로 규모가 작지 않다. 바위가 만들어진 결에 어긋나게 깎였고, 이곳에서도 호동 동굴에서처럼 볼펜 세 자루가 들어감 직한 원형의 구멍이 벽면 바위에 뚫려 있었다. 취재기자와 입구에 집을 지어 동굴을 관리하는 주민 등 4명이 동굴 안에 탁자를 놓고 둘러앉아도 너비가 남을 규모다. 석교동에서 만난 또 다른 주민은 "어릴 때 친구들과 즐겨 찾던 놀이 장소이고, 어른들은 동굴 벽면에 생기는 하얀 가루를 긁어서 피부병에 바르곤 했다"고 설명했다.
석교동의 동굴에서 직선으로 700m 떨어진 부사동 보문산에 세 번째 동굴이 있는데, 이곳은 입구가 등산로 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다만, 동굴 입구에 벽돌을 쌓고 시멘트를 발라 밀봉 형태로 출입을 막은 상태로 치안과 안전상의 이유로 과거 10여 년 전에 지자체가 막은 것으로 전해진다. 주민들은 이곳 동굴 입구가 하나가 아닌 과거 두 개였다고 증언했고, 6·25전쟁 때는 우리 군 무기를 보관하는 곳으로 쓰였다고 설명했으나 정확한 조성 시점은 특정하지 못했다.
대전 중구 석교동 입구가 무너진 동굴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 (사진=임병안 기자) |
임병안·김지윤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