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광천식당 골목에 서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광천식당 골목에 서서

  • 승인 2023-12-06 10:13
  • 신문게재 2023-12-07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31206_093316505
'인정이 몹시 그리워지는 어느날 나는 남장(男裝)을 하고 거리에 나섰다.' 가을과 겨울의 경계에서 나는 소설의 이 매혹적인 첫 문장을 떠올린다. 그것은 의도적이지 않다. 그저 몸으로 체득한 강렬한 경험의 기억같은 것이랄까. 나는 초록색 아망구를 푹 눌러쓰고 플라타너스 길을 따라 걸었다. 빗물에 젖은 가랑잎들은 나른하고 묵직했다. 낙엽은 어떠한 고통도 없이, 어떠한 존엄도 없이 몇 번의 비가 더 내린 뒤엔 산산이 흩어질 것이다. 벙벙한 파카를 입은 긴 머리의 어린 여자가 담벼락에 붙어서 담배를 피운다. 하얀 연기가 몽글몽글 오르다 금세 흔적없이 사라진다. 삶이 그럴까.

휴일 오후를 하릴없이 헤맸다. 어느새 먹색의 하늘엔 흰 달빛이 음습하게 비추고 있었다. 나는 무엇에 홀린 듯 길을 꺾어 뒷골목으로 들어섰다. 여기는 아직도 내 청춘의 한 시절에 머물러 있었다. 이상할 정도로 골목은 바뀌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다만 인적이 드문 적막감만이. 친구와 뻔질나게 드나들던 이수락은 자취를 감췄다. 새콤매콤한 쫄면을 생각하자 침이 고였다. 아! 광천식당. 대전의 명물 두부두루치기의 원조 아닌가. 대학 다닐 때 여기서 과 모임도 했었는데. 두툼한 두부가 쟁반만한 접시에 가득 담겨 나오는 집. 두부가 꽤 매워 여자동기는 위염이 있다면서 두부를 물에 헹궈 먹었지. 식당 안에서 손님들이 두런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30년이 훌쩍 지난 지금, 나는 어두운 골목에 서서 코를 훌쩍였다. 가슴이 먹먹해서 눈물이 난 게 아니었다. 칼바람에 코끝이 찡해서였다.

대림관광호텔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여긴 재밌는 에피소드가 있는 곳이다. 어느날 길을 걷는데 낯선 남자가 차 한잔 하자고 했다. 차려입은 폼을 보니 영락없는 제비족이었다. 호기심이 발동했다. 우리는 대림호텔 로비 커피숍으로 들어갔다. 오렌지주스를 시키고 탐색을 시작했다. 긴장과 흥분으로 가슴이 두근거렸다. 오줌이 마려웠으나 주스에 수면제를 탈까봐 꾹 참았다. 덥석 따라온다 싶었는데 빤히 쳐다보며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 아무래도 잘못 짚었다는 생각을 했는지, 운도 지지리도 없는 제비족은 허탈한 표정으로 찻값을 계산했다. 그 백바지 신사는 안녕하실까.

나는 어둠 속을 두리번거렸다. 찻집의 불빛이 이교도의 눈처럼 은밀하게 반짝였다. 자그마한 식당 출입문에 붙은 '오늘의 메뉴 제육볶음, 북엇국, 계란말이'를 보고 문을 열었다. 중년의 사내가 등을 돌리고 밥을 먹고 있었다. 말수가 없고 차분한 표정의 주인 아주머니가 열심히 손을 놀렸다. 단발머리의 젊은 여성은 경쾌하게 음식을 날랐다. 모녀지간이라고 했다. 밥상이 정갈하고 소박했다. 북엇국을 한 술 떠먹었다. 구수하고 칼칼한 게 언 몸이 확 풀렸다. 점심에 찹쌀떡과 곶감을 먹은 탓에 매콤한 것이 끌렸는데 마침맞았다. 오랜만에 먹는 제육볶음에 계속 손이 갔다. 된장으로 무친 쌉쌀한 머위와 무생채는 또 달래서 먹었다. 전기난로의 빨간 불빛이 아궁이 같았다. 쪼맨할 때 불을 때는 엄마 옆에 찰싹 붙어 활활 타는 불을 쬐며 졸던 추억. 누렁이도 내 옆에서 꾸벅꾸벅. 밥은 모성이라고 했던가. 시인 이성복은 '오 밥이여, 어머니 젊으실 적 얼굴이여!'라고 썼다.



골목은 아련한 추억이 밴 원초적인 무언가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 흘러가기도 하고 머물기도 하는 장소. 쓸쓸함과 진한 사람 냄새로 얼룩진 내 영혼의 안식처. 개발논리에 허물어지는 도시의 후미진 뒷골목에 대한 애착은 나의 이기심일까. 밤하늘에 홀로 떠 있는 별이 구름에 숨었다 나타난다. 별이 얼음조각처럼 차가울 것 같다. 골목 입구에 트럭을 세워놓고 귤을 파는 남자가 손을 비비며 서성거린다. 귤 한 봉지를 사서 '이층에서 본 거리'를 흥얼거리며 타박타박 집으로 향했다.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