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공원의 한 지점에서 발견된 천연기념물 큰소쩍새. /사진=임병안 기자 |
지난 8월에는 최근까지 새끼를 키운 흔적이 역력한 암컷 오소리가 중도일보 야간 관찰카메라에 확인되기도 했다. 야행성인 오소리가 월평공원에 서식하는 것은 그동안 대전지역 식생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것이다. 다만, 중도일보가 지난 여름부터 이곳에 야생동물 서식환경을 조사한 결과 갑천습지를 포함해 월평공원과 도솔산의 사람 발길이 없는 특정 지점 좁은 면적에서 그들의 흔적이 발견돼 사실상 궁지에 몰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갑천습지와 월평공원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데 면적이 넓어 보여도 등산로가 너무 많고 야간 가로등과 체육시설이 무분별하게 설치돼 실제 야생동물이 안전하다고 여기고 서식할 곳은 얼마되지 않는다"라며 "산과 3대 하천의 연결성을 확보하고 야생동물보호구역을 확대해 안전한 서식처를 지켜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갑천습지에서도 여전히 낚시가 행해지고 수풀을 걷어 밭을 일구는 영농이 이뤄지면서 야생동물을 위한 공간은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에서도 고양이 먹이주기가 반복적으로 이뤄져도 지도단속 손길은 없는 실정이다.
생물종다양성 보전을 위해 습지를 보전하고 유지하는 수준을 넘어 복원과 습지공원 개념까지 제시되고 있다. 담수습지는전 세계 생물종의 40% 이상 서식하는 곳으로 영양분을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에 연결하는 먹이사슬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 최근에는 도심에서 습지 개념을 도입해 식생수로를 조성해 빗물이 고여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거나, 배수구를 약간 높여 일정 수위 이하에서는 물이 고일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김이형 공주대 스마트인프라공학과 교수는 "습지가 지닌 가치 중에서 홍수조절과 기후조절, 수질정화 기능 외에도 풍부한 영양분으로 다양한 생물서식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생활 주변에 습지를 보전하거나 복원하는 것으로 생물종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