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 만필] 공감과 소통: 청렴한 학교문화의 비결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 만필] 공감과 소통: 청렴한 학교문화의 비결

김은지/세종누리학교 교사

  • 승인 2023-11-30 10:30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이번 주 금요일 커피는 제가 낼게요."

명절 상여금을 받아서, 코로나에 걸려서, 대화하고 싶어서 등 각종 핑계를 모아 금요일 오후 1시에 중학교 과정 교사들이 협의회실에 모인다. 주말 이야기, 육아 고민 등 개인사와 함께 중학교 학생들의 요구, 강약 점과 행동 지원 팁, 학교 행사, 학부모 등 학교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눈다. 벌써 중학교 과정에서 2년째 이어지는 수다 시간이다. 처음엔 수다 시간에 참여하면 어색하고 자리만 채웠는데 어느새 소통 문화에 스며들었다. 금요일 방과 후 수다 시간은 학교에 출근하고 싶은 가장 큰 이유이다.

다른 시도 전출로 세종시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며 민주적이고 공감하는 학교문화에 감동했다. 세종시 교육청은 특히 민주적이고 열린 마음을 가졌다는데 다른 학교도 민주적인지, 예전처럼 특수학급에서 외로이 근무하게 될지 걱정되어 'MZ세대 공무원이 만들어 가는 청렴 서포터즈(아기자기)'에 지원했다. 바라던 대로 청렴 우수사례 발굴 모둠에 배정되어 청렴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초, 중, 고, 특수학교를 방문하고 인터뷰를 진행하며 우수 학교의 청렴 특급 비결을 찾고 있다.

첫 번째로 방문한 학교의 교감 선생님과 교무부장님은 청렴의 비결에 대하여 저 경력과 경력 직원의 구성이 조화롭고 민주적인 학교문화, 갈등 없는 업무분장, 믿어주는 지도력, 성장을 위한 학교 운영이라 하였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힘든 일이 있으면 서로 도맡고 함께 돕는 문화를 만들어 업무 분장 시기에도 갈등이 전혀 없다고 하였다. 선생님들의 말랑한 분위기는 학생들에게도 전해져 학폭 없는 학교, 교권 침해 없는 학교로 모든 구성원이 안정된 분위기에서 즐겁게 생활하고 있다고 하였다.

두 번째 학교의 청렴 비결도 경력 직원의 솔선수범, 민주적인 학교문화, 활발한 의사소통이었다. 특히 이 학교는 교장 선생님과 학부모의 소통이 빛났다. 교장 선생님은 달마다 교육계획을 상세히 써서 편지를 보내고 학부모의 피드백을 받는다. 학부모 편지에 소개할 거리를 찾아 교직원과 소통하며 자연스럽게 칭찬할 거리를 찾고 고충을 듣는다고 하였다.

세 번째로 방문한 학교의 선생님도 청렴한 학교의 비결을 민주적인 학교문화와 수평적인 의사소통으로 꼽았다. 이 학교에선 교직원과 학교 운영에 대해 자주 논의하는데 경력과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발언 기회를 제공하여 자유로운 소통 문화를 만들었다. 함께 어려움을 논의하고 돕다 보면 친해져서 젊은 선생님들과 종종 학교 근처 맛집을 탐방한다고 자랑하셨다.

청렴 우수기관을 찾아다니며 공감과 소통은 청렴으로 이어지는 지름길이라는 걸 느꼈다.

공감하고 소통하는 학교는 윤리적 행동, 타인에 대한 배려, 조직문화, 대인관계, 그리고 사회적 책임이라는 청렴 특급 비결을 모두 이루었다.

학교에서 다른 교직원의 감정과 필요를 이해하고 협력하는 공감 문화가 강화되면 자연스럽게 청렴한 조직문화로 이어진다. 원활한 대인관계는 신뢰와 협력을 증가하고 학교에서의 책임을 실천하게 한다. 공감과 소통이 원활한 학교는 교직원이 소속감과 책임을 갖고 부정행위와 부패를 예방한다.

2년 전 중학교 과정으로 복직할 때의 목표는 학급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육아시간을 써서 일과 가정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이었다. 복직 목표를 이루기 위해선 학교에서 존재감을 숨기고 일을 빨리 끝낸 후 살며시 퇴근하는 게 중요했다.

청렴 우수 학교의 특급 비결을 알게 된 후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앞으론 주변 사람의 감정과 필요를 이해하고 함께 나아갈 것이다. 내 일을 완벽하게 하지 못하는 것을 자책하기보다 힘들면 동료와 나누고 도와가며 출근하고 싶은 교직 생활을 만들고 싶다.

공감과 청렴으로 시작하는 건강하고 윤리적인 교직원 사회, 해볼 만하지 않을까.

김은지/세종누리학교 교사

김은지 세종누리학교
김은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