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에게는 혹한에 맞서야 할 겨울나기가 만만찮다. 그나마 각계의 연탄 나누기 행사가 추위를 녹이는 데 일조한다. 각 지역의 연탄은행은 지금 성수기를 맞는다. 한때 국민 연료였던 연탄은 일부 계층엔 여전히 유일한 난방 연료다. 기준을 바꿔 독거노인이 아닌 만 65세 이상까지 연탄쿠폰을 지급하는 것은 잘한 일이다. 에너지 지원에 사각지대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경영상 문제로 가동 중단 상태인 연탄 생산업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은 같은 맥락이다. 실제로 인근 지역에서 연탄을 수급하는 곳이 없지 않다. 지역난방공사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확대할 여지가 있다. 등유 등 에너지 바우처, 연탄쿠폰 등의 지원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지원이건 두텁고 촘촘해야 한다. 그래야 온기가 독거노인세대, 장애인, 기초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등에 골고루 퍼질 수 있다. 난방비 추가 지원은 한파로 삶의 터전을 위협받는 국민이 없을 정도가 돼야 한다.
난방 연료 지원은 정부와 지자체의 겨울 대비책 중에서 중요하다. 연료나 연료비 지원, 에너지요금 할인 등 에너지 복지제도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 지원 정책이 도시민 위주가 아닌지도 깊이 들여다볼 부분이다. 농촌 평균 총소득의 11.1%가 연료비인데도 도시와 농어촌 연료비는 지난해 32만7000원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농촌 액화석유가스(LPG) 배관망 구축사업의 당위성을 여기서 찾게 된다. 한파에 취약한 노인 계층에는 맞춤형 돌봄 서비스도 부가돼야 한다.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아야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맞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