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세종연구원 이정범 책임연구위원이 28일 발표한 '대전시 공공형 택시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대전시 내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분석한 결과, 버스정류장과 거주지가 500m 이상 떨어진 가구는 총 1572가구에 달했다. 유성구가 767가구로 가장 많고 서구 294가구, 중구 247가구, 동구 209가구, 대덕구 55가구로 조사됐다.
버스정류장과 1000m 이상 떨어진 가구도 있었는데, 유성구 66가구, 서구 28가구, 동구 20가구, 중구와 대덕구가 각각 1가구씩이다.
하지만 대중교통 이용객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교통소외 지역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 이뤄지기 힘든 실정이다. 대전시의 대중교통 서비스는 거의 모든 지역에 제공되고 있음에도 일부 지역에서 배차 간격과 운행횟수가 제한적이고 접근성이 나빠 교통 불편 문제가 생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만큼 연구보고서에서는 교통소외지 거주자들을 위해 대전도 공공형 택시를 확대하거나 수요응답형 버스를 도입하는 등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용수요가 적은 지역의 경우 공공형 택시가 경제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미 많은 지자체가 교통소외지에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늘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있다는 점을 사례로 들었다. 현재 경북 영주와 전남 목포시에서 공공형 버스를 운영 중이고, 세종에서는 두루타버스(DRT)를 운행하고 있다. 세종의 DRT는 이용시간 최소 1시간 전 전화로 예약 시 지정된 장소로 버스가 찾아오는 맞춤형 교통수단이다. 운행 중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약이 발생할 경우 합승해 경유지를 추가한다.
경기 광명시의 공공형 택시는 버스 노선이 없거나 버스 정류장에서 거리가 먼 교통 불편 지역 9개 마을을 대상으로 1500원을 지불할 경우 시청과 병원, 동행정복지센터 등을 이동할 수 있게 해놨다. 대구 달성군도 폐선된 시내버스 노선 거주자들을 위한 공공형 택시를 운행 중이다.
제공=대전세종연구원 |
이 연구위원은 교통소외지 가구 수 분석 결과에 따른 자료를 바탕으로 대전도 공공형 택시를 확대할 경우 예상 비용은 이격거리 600m 기준 2억 원, 500m 이상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3억 3500만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운송원가를 고려한다면 일부 버스노선을 폐지하고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는 것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용자가 일정 인원을 넘어가고 대상 지역이 분산된 경우 세종시의 DRT처럼 공공버스를 도입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특정 노선을 최적화하고 니즈에 맞는 노선 변경을 병행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형 버스 또는 공공형 택시의 콜을 위해 기존의 택시 콜센터 이외에도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등 편의성도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연구보고서에 "마스(MaaS) 등과 연계해 다양한 교통수단을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썼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