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정책연구원 제공] |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최근 5년 동안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급락했다.
2022년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 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 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된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잠재적 부실 건설기업은 929곳으로, 업계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 높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에 따라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사는 387곳으로 이는 전체(최근 3년간 재무 자료가 존재하는 건설 외감기업 기준)의 18.7%에 해당하는 규모다.
건설기업 가운데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은 급증세를 나타냈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중소기업은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건설업계는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수익률 악화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었고, 금리 인상으로 이자 비용이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부실 위험이 커졌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지속하고 건설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올해 건설업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건설 경기의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