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악세히르 마을 사람들은 '최고의 날'을 맞을 때마다 자기 집 문기둥에 금을 하나씩 긋는다지요. 그가 지상을 떠날 때 문기둥의 금을 세어 나이로 계산하고 그것이 '참삶의 나이'라는 것입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빈번하게 접하는 상황 중에 학연과 지연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것이 벗어났다 싶으면 으레 "몇 살이냐?"라는 질문이 뒤따르지요. 나이는 마치 한 사람이 살아온 시간의 흔적과 현재의 모습을 대변하는 척도로 통용되는 듯합니다. 그런데 나이는 많지만 나잇값은 못 한다고 느낀다든지, 어리지만 옹골찬 기백과 깊이를 가진 이를 만날 때 나이가 가져다주는 이중성을 실감하며 묘한 기분을 느끼곤 하지요. 가끔은 '밥 몇 그릇 더 먹었다는 게 뭐 대수일까?' 싶은 자조감에 자신을 되돌아보기도 하게 됩니다.
저는 사적 자리에서 나이를 물으면 오래전부터 '서른아홉'이라고 대답합니다. 다중이 모인 자리에서 유머로 서른아홉이라는 나이를 주장하지만 여기에는 두세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는 제 스스로 나이 듦을 경계하려는 의도이고, 둘째는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이 자칫 제 나이의 무게를 의식해 무거워질 것을 미리 예방하고자 하는 뜻에서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정한 나잇값'이라면 서른아홉도 되지 않을 거라는 반성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박노해 시인의 말대로 '참삶의 나이'로 따진다면 서른아홉도 한참 많이 높여준 것이지요.
참삶을 철학적 또는 영적으로 풀이한 사람이 있지요. 그는 달라이 라마, 틱 낫 한과 함께 21세기를 대표하는 영적 교사로 알려진 독일 출신의 에크하르트 톨레입니다. 그는 '에고'를 비판합니다. 에고의 가장 큰 병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과거나 미래에서 찾고 현재의 순간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에고는 본래 존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인간의 머릿속이나 기억과 생각의 범주 안에 있는 일종의 착각이라는 것이지요. 이러한 사실을 깨닫는 순간 인간은 '진정한 깨어남'이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의식 상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으며 깨어있는 의식을 선택할 때 개인의 삶이 변화되고 반복되는 갈등과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톨레가 말하는 '깨어남'이고, 박노해 시인이 표현한 '참삶'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나이가 들어도 그 고개마다 새로운 기쁨이 있다면 늙는 것이 아닙니다. 꿈과 희망을 유지한다면 그것도 늙는 것이 아닙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후회가 꿈을 대신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늙기 시작한다"라고 하였지요. 악세히르 마을 사람들의 기준으로 보면 참삶이어야 나이가 올라가는데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참삶을 사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른아홉이라는 저의 나이는 참삶의 기준에서는 훨씬 부풀려진 것이지요. 오늘부터라도 태어난 시점에 매이지 않고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한 참삶의 나이를 세어가며 산다면 한결 멋진 삶이 되겠지요. 우리, 자신의 나이를 '참삶의 나이'로 한번 세어봄이 어떨는지요.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