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이렇게 '공감의 시대'라는 말이 세계적인 화두가 된 지 오래입니다. 사전적 의미로 '공감'은 '타인의 사고(思考)나 감정을 자기의 내부로 옮겨 넣어, 타인의 체험과 동질(同質)의 심리적 과정을 만드는 일'이라고 정의합니다. 타인의 경험과 이야기에 눈높이를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며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본다는 것은 역지사지(易地思之)와도 통하는 말입니다.
공감은 인간 사이의 벌어진 거리를 뛰어넘게 하는 정신의 초능력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친절한' 행위가 밑바탕이 되는 것입니다. 친절함이란 대가를 치르면서도 타인을 도우려는 성향을 말하는데 이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생존 기술 중 하나지요.
그러면 왜 공감을 느껴야만 하나요? 인간은 흩어진 개인일 때는 보잘것없는 존재지만, 함께 뭉치면 굉장한 존재가 됩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공동체 의식이 높고, 자선활동에 더 많이 기부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자주 합니다.
대표적으로 세계적인 토크쇼의 여왕으로 불리던 오프라 윈프리입니다. 그는 25년 동안 토크쇼를 진행해 왔는데, 많은 상처를 간직한 흑인 여성이 어떻게 그토록 긴 세월 동안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손꼽힐 수 있었을까요. 그녀의 비법은 바로 '공감의 능력'이었습니다. '당신과 나는 똑같은 약자'라는 자세로 상대방과 완벽하게 공감하는 그녀의 능력 앞에 전 세계 유명 인사들은 단 몇 분 만에 무장 해제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윈프리는 우리 모두에게 공통된 소망은 "자기 자신이 가치 있게 여겨지고 싶다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누군가가 우리를 사랑하고 필요로 하고 이해하고 인정해 주기를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갈망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생각을 몸소 실천한 것입니다.
오프라 윈프리는 이와 같은 상대에 대한 배려뿐만 아니라 기부활동도 많이 했습니다. '남아공 윈프리 여학교'를 4000만 달러(520억 5800만 원)나 들여 세운 것을 비롯, 상당한 재산을 어려운 사람들에게 기부하여 그녀는 '돈 쓸 줄 아는 부자'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저에는 그의 공감 능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심리학적인 견해에 의하면 어린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더 본능적인 공감 능력과 균형 감각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욕망과 상처, 콤플렉스가 덧대어지면서 뭔가가 뒤틀리게 되고 이러한 부적절한 욕망들로 인해 공감의 능력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공감은 지능이다'의 저자 자밀 자키 스탠퍼드대 교수는 공감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기술이고 노력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감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최선이자 최후의 희망이다"고 했지요. 그렇다면 어렸을 때 가졌던 공감 능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꾸준히 키워나가야 합니다. 우리, 살면서 주위에 공감을 구축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아야 하겠습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