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기수 국장 |
이처럼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와 영화들이 여러 OTT 플랫폼에서 앞다퉈 방영되는 모습을 보고 웹툰이 우리 삶에 깊게 스며든 걸 느꼈다. 걸으며, 지하철에서, 밥을 먹으며…. 짬짬이 생기는 시간 속에서 웹툰을 보는 일상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는 사회 모습이 되었다.
웹툰은 일상 속 즐거움이면서도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진다. 대표적인 K-콘텐츠의 원천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잠재력을 가지는데, 하나의 웹툰이 드라마로, 영화로, 게임으로 제작되고, 반대로 드라마나 웹소설이 웹툰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더욱이 창작 장소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어디서든 발전할 수 있는 산업이다. 무엇보다 청년들이 많이 취업하고 취업하길 희망하는 중요 청년 일자리 산업이자 미래 전략산업이다.
한국에서만 웹툰을 사랑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글로벌 웹툰 시장은 2020년 14조 원에서 2025년까지 22조 원 규모로 연평균 9.3%대 성장률이 예상되며 국내 웹툰 시장은 2021년 기준 2조 원을 돌파했다. 5년간 약 350%나 성장해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최고 성장률을 보이는데, 최근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애플, 아마존이 웹툰 시장에 진입하기도 했다.
이러한 웹툰 산업의 빠른 성장 속에 지난 10월 30일 웹툰산업의 날 선포식에서 대전시는 웹툰산업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 대전이 언제부터 웹툰과 관련이 있었다고? 사실 대전과 충청권은 항상 웹툰에 진심이었다.
충청권에서는 1990년에 공주대에서 국내 최초로 웹툰 학과가 개설됐고 웹툰 학과 수도 15개로 2022년 기준 전국 최다였으며 재학생 수도 3천여 명으로 수도권 못지않은 웹툰 인력 중심지다. 대전은 충청권과 연계해 웹툰 잡페어를 전국 최초 시행, 3년간 지속해 올해는 전국 30개 대학과 33개 기업이 참여했다. 작년에는 지자체 최초 '만화의 날'을 개최하는 등 웹툰·만화 관련 역량이 밀집돼있다.
대전은 시민들이 함께 즐기는 '디쿠(DICU) 페스티벌'을 20년째 지속하고 있으며 김풍, 수신지 작가 등 유명 작가들의 고장이기도 하다. 현재도 탁영호, 만두인, 그림조 등 120여명의 작가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년에는 신대성 작가의 '커넥트' 작품이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돼 한국에서 가장 많이 본 콘텐츠 1위, 아시아 인기 상위권에 안착했으며 대전 출신 꼬마비 작가의 '살인자ㅇ난감'이 넷플릭스에서 2024년 방영 예정이다.
이에 대전은 한 번 더 웹툰에 진심이기로 결심했다. 웹툰이 다양한 산업으로 파급되고 콘텐츠 산업을 이끌 수 있도록 웹툰 기업과 웹툰 작가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과학기술도시답게 웹툰 AI·XR·메타버스 등 웹툰 기술사업화 분야 특화를 통해 타 시·도와의 차별성을 줄 예정이다. 또 국내 최대규모 스튜디오인 '스튜디오 큐브', 앞으로 조성될 '융복합 특수영상 클러스터' 등 다양한 인프라와 연계해 대전에서 제작된 웹툰 원작이 OTT 영화·드라마·게임 등으로 제작되는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다.
대전은 과감한 투자와 인재 육성을 통해 'K-웹툰 선도 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성공 추진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오늘 저녁엔 또 어떤 웹툰을 볼지 기대된다.
/노기수 대전시 문화관광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