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다문화] 네팔 통일과정을 아시나요?

  • 다문화신문
  • 세종

[세종 다문화] 네팔 통일과정을 아시나요?

1801년 고르카 샤 왕조때부터 소규모 왕국 통합
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 세력 확장으로 1826년 네팔 왕국 선포

  • 승인 2023-11-07 10:32
  • 신문게재 2023-11-08 11면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11월 기사 네팔 통일에 관하여[이소니]
오늘날 네팔의 통일은 1801년부터 시작해 바이세 라쟈(baise rajya·22개 공국)와 차우비시 라쟈(chaubisi rajya·24개 공국)을 포함해 분열된 소규모 왕국을 통합해 이뤄졌다.

통일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고르카(Gorkha)의 왕 프리트비 나라얀 샤(Prithvi Narayan Shah)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1723년 1월 7일 고르카의 샤 왕족으로 태어나 왕인 아버지가 사망한 후 1799년 고르카 왕국을 이어받았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왕자 시절부터 정치와 외교에 관심이 있었다.



이에 그는 네팔의 면적이 2500㎢에 불과한 자신의 왕국을 확장하기로 했다.

세력 확장은 인근 누와코트 왕국부터 시작했다.

티베트와 카트만두 사이 무역로의 일부였던 누와코트는 고르카 왕국의 동쪽경계이자 카트만두의 서쪽 관문이기도 했다.

샤 왕은 이후 주요 공국(떠너우·먹완뿌르·허리허르뿌르)과 카트만두를 포함한 다른 왕국까지 지배했다.

그리고 1826년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공식적으로 네팔 왕국의 통합을 발표하고, 수도를 고르카에서 카트만두로 옮겼다.

이때 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판데이족의 방패와 바스냐트족의 칼로 정복됐다"고 언급했다.

네팔 통일과정에서 바스냐트족과 판데이족의 역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샤 왕조는 한때 현재 네팔의 일부를 점령했던 다양한 왕국을 서쪽의 숫젤 강과 동쪽의 시킴 절빠이구리까지 뻗어 있는 민족국가로 확장, 고르카 제국(Gorkha Empire)을 세웠다.

고르카 제국 이전 카트만두는 네팔 바사(Nepal Bhasa)의 지역 이름인 네팔 만다라(Nepal Mandala)를 따라 네팔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프리티비 나라얀 샤는 '국가의 아버지(Father of The Nation)'로 받들고 있다. 이소니 명예 기자(네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고교 당일 급식파업에 학생 단축수업 '파장'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대전 오월드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 작업자 추락해 사망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5.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헤드라인 뉴스


[르포] 4·2 재보궐 현장…"국민통합 민주주의 실현해야"

[르포] 4·2 재보궐 현장…"국민통합 민주주의 실현해야"

"탄핵정국 속 두 쪽으로 갈라진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고 민주주의가 살아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요." 4·2 재보궐선거 본 투표 당일인 2일 시의원을 뽑는 대전 유성구 주민에게선 사뭇 비장함이 느껴졌다. '민주주의의 꽃' 선거를 통해 주권재민(主權在民) 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발현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 저마다 투표소로 향한 것이다. 오전 10시에 방문한 유성구제2선거구의 온천2동 제6투표소 대전어은중학교는 다소 한산한 풍경이었다. 투표 시작 후 4시간이 흘렀지만 누적 투표수는 고작 200표 남짓에 불과했다. 낮은 투표율을 짐..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약 9500여 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 1073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 2023년 2분기 말(9332만 원) 이후 6분기 연속 증가했다. 1년 전인 2..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