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물가 언덕배기에서 메추라기 한 마리가 잘 여물어 고개 숙인 조 이삭을 바라보고 있고, 다른 한 마리는 땅에 떨어진 조 낟알을 주워 먹으려 다가가고 있다. 조는 오곡 중 하나이다. 오곡백과라 할 때는 온갖 알곡과 과일을 의미하지만, 오곡은 쌀, 보리, 콩, 조, 기장을 말한다. 쌀이나 보리가 주식이라면, 나머지는 혼반용으로 이용한다. 조는 새 먹이로 사용하기도 한다. 고개 숙인 이삭과 떨어진 낟알은 겸양지덕과 자족의 상징이다.
메추라기는 메추리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로 사육하기도 하며, 알은 영양가가 높아, 장조림, 샐러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에 활용된다. 작고 통통하다. 목, 다리, 꼬리가 짧아 모양이 예쁘지는 않다. 몸 윗면은 엷은 적갈색이며 흑갈색과 흰색 줄무늬가 복잡하다.
메추라기는 깃털이 누더기처럼 보인다. 꾸밈이 없어 보이는 모습 때문에 겸손, 청렴에 비유된다. 일정한 거처 없이 자유롭게 살며 정한 짝과 믿음으로 함께하는 특성이 있다. <본초강목>에 나오는 글이다. "순(?), 즉 메추리는 성질이 순박(醇朴)하다. 얕은 풀밭에 숨어 사는데, 일정한 거처는 없지만 정한 짝이 있다. 어디서든 만족하며 산다. 장자가 말한 '성인순거(聖人?居)'라는 것이 이를 일컫는다. 가다가 작은 풀을 만나도 돌아가 피하니 또한 순박하다 할 만하다." 성인순거는 성인의 삶이 메추라기 삶과 같다는 말이다. 자기 분수에 맞추어 만족하며 사는 편안한 마음(安分知足),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는(安貧樂道) 선비의 이상적 인간상에 부합된다, 생각했다. 때문에 오래전부터 화조화의 소재로 애용 되었다.
최북 또한 괴팍한 성격 및 기행과 달리, 작가 내면의 이상향에 대한 열망을 분출한 것 아닐까? 순리대로 살려는 순박한 소망이 담겨있는 것 아닐까?
화가는 형상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 한다. 어떤 사물에 의미부여, 실제 사물의 조사 연구로 이치 파악하고 지식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다. 그로서 뜻을 성실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한다. 그림에 담긴 안분지족을 다시 한 번 정리하자.
명심보감 안분편에 나오는 말이다. "경행록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수 있고 탐욕에 힘쓰면 근심 한다. 족한 줄 아는 자는 가난하고 천하여도 또한 즐겁고, 족한 줄 모르는 자는 부유하고 귀하여도 또한 근심 한다. 지나친 생각은 한 갓 정신을 상하게 할 뿐이요, 망령된 행동은 도리어 재앙을 부른다. 만족함을 알아 항상 만족하면 종신토록 욕되지 아니 하고 그칠 줄을 알아 항상 그치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느니라."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