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기억을 위한 용기, 욕망에 대한 물음 '소년들'

  • 오피니언
  • 김선생의 시네레터

[김선생의 시네레터] 기억을 위한 용기, 욕망에 대한 물음 '소년들'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 승인 2023-11-02 13:28
  • 신문게재 2023-11-03 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KakaoTalk_20231101_192706310
영화와 이야기는 과거의 재현이라는 점에서 기억과 결부됩니다. 생방송이나 연극과 달리 촬영과 편집을 거친 뒤의 일이므로 관객이 보는 영화의 장면들은 누군가의 기억을 통과한 것이 됩니다. 문제는 기억하는 일이 주관의 개입이나 왜곡, 조작의 가능성에 취약하다는 점에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강력하게는 욕망이 작동합니다. 그러므로 영화는 이야기처럼 기억을 통한 욕망의 재현이기도 합니다. 혹은 욕망의 정체에 대한 성찰과 질문일 수 있습니다.

객관적으로 17년의 시간이 경과되었고, 관련된 인물들의 기억은 자연히 소실되었거나 흐려졌습니다. 그러나 중요하게는 의도적으로 왜곡, 은폐하려는 자들과 망각하기를 거부하고 흐릿해진 기억마저 되살리려는 이들의 대립과 갈등이 있습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완전히 오류인 기억을 강제로 주입 당한 채 죄를 짊어지고 수감자로, 전과자로 살게 된 소년들의 경우입니다.

영화는 기억을 위한 용기를 그려냅니다. 기억할수록 상처가 도드라지고, 거대한 힘에 의한 위협이 가해집니다. 그럼에도 이를 무릅쓰는 용기는 처절하고 쓸쓸합니다. 역으로 영화 곳곳에서 상관을 향해 붙이는 경례 구호는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충성인가를 묻게 합니다. 그들 뒤에서, 안에서 작동하는 욕망의 정체에 대해 회의하게 합니다. 그들이 위한다는 국가는 무엇이고, 조직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들의 폭력은 정당한 것인가.

설경구라는 배우를 다시 만납니다. 10월 어느 날 '소년들'의 개봉예정작 포스터를 보았습니다. '박하사탕'(1999), '오아시스'(2002) 이후 아주 오랜만에 포스터 속 그에게서 아우라가 느껴졌습니다. 그는 힘을 잃었을 때, 상처받았을 때, 고통스럽게 서 있을 때 역으로 가장 위력적이고, 마음을 뒤흔드는 배우라는 생각을 합니다.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세파와 시류에 휩쓸리며 어쩔 수 없이 원래 먹었던 마음을 잃고 허덕이다가 문득 다시 걸어온 길을 돌아보는 쓸쓸하고 슬픈 눈동자의 사나이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 정도의 세월과 또 그만큼의 무게, 그리고 정서적 깊이와 흔들림을 담아내고 표현할 수 있는 배우는 설경구 외에 달리 떠오르지 않습니다. 힘을 빼고 담담히, 때로는 곡진하게 그의 눈빛이 우리로 하여금 진실을 향하게 합니다.



'남부군'(1990), '하얀 전쟁'(1992), '부러진 화살'(2012) 등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에 천착해 온 정지영 감독의 공력을 보게 하는 작품입니다. 좋은 영화로 기억될 것입니다.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경찰, 설 명절 특별치안 대책 주효
  2. 세종교육청, '주민참여 위원·다문화 마을 강사' 모집
  3. 세종충남대병원, 지역 의료체계 혁신 주도
  4. '청년과 귀어인' 맞춤형 양식장 임대사업자 모집
  5. 해수부, 2024년 정부업무평가 '3개 부문' 우수기관 선정
  1. 대전신세계, 설 황금연휴 신학기 행사로 고객맞이
  2.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자립을"
  3.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로 다양한 상품행사 만나러 가볼까"
  4. 경주마 '글로벌히트', 두바이 원정서 가능성 확인
  5. 한국마사회, 2025년 워크숍·성과 공유회 연이어 개최

헤드라인 뉴스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세종시 행복도시는 2025년 또 어떤 밑그림을 그리며 2030년 완성기로 나아갈까. 큰 틀의 도화지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에 있고, 그 안에 내용과 색채를 넣는 시간으로 승화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2027년 대통령 집무실과 2031년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수도 지위에 걸맞은 위상을 갖춰 들어서야 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도시 기능과 요소들이 적기에 지연 없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선 2004년 행정수도 위헌 판결 이후 20여 년의 세월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가리키는 시계추..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지난해 대전 오피스 시장은 임대료가 오르고, 상가는 임대료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과 충북은 오피스 시장과 상가가 모두 하락했으며, 세종은 전국에서 집합상가 하락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임대가격지수는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은 4.78%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경기(2.60%), 대구(0.53%), 대전(0...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2024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충청권 메디컬학과(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합격자 중 526명(163.9%)이 최종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정원이 늘어난 2025학년도엔 중복합격자 증가와 등록 포기로 인한 추가합격 인원이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정시 전국 의·치·한·약대 합격자 중 최종 등록포기는 3367명으로 모집정원 대비 136.4%를 나타냈다. 사실상 최초합격자 전원이 타 대학 중복합격으로 이탈했고, 추가합격자 중에서도 중복합격으로 인한 연쇄적 이탈이 발생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