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원인 국적별 특허출원 동향 (자료=특허청) |
특허청은 주요국 특허청(IP5: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연합, 일본)에 출원된 전 세계 로봇청소기 특허를 분석한 결과, 로봇청소기 특허출원이 최근 10년('11년~'20년) 사이 증가한 가운데, 한국이 가장 많은 출원을 했다고 29일 밝혔다.
자료를 살펴보면, 전 세계 로봇청소기 특허출원은 2011년 출원량이 53건에 불과했지만, 10년 사이 연평균 36.9% 증가해 '20년에는 894건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 5년('16년~'20년)간의 연평균 증가율은 51.7%로, 출원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로봇청소기 특허출원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한국이었다. 출원인 국적을 살펴보면, 한국이 35.8%(1321건)로 가장 많이 출원했고, 중국이 35.7%(1317건)로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3위 미국 12.8%(473건), 4위 일본 4.5%(167건), 5위 독일 3.3%(120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중국이 91.9%로 1위, 한국이 39.6%로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이 67.1%로 중국(55.1%)을 앞서고 있어, 특허청은 당분간 한국은 1위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요 출원인으로는 LG전자(26.6%, 980건)가 최다 출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어 2위는 미국의 아이로봇(5.4%, 198건), 3위는 삼성전자(5.2%, 193건), 4위 는 스웨덴의 일렉트로룩스(3.0%, 111건), 5위는 중국의 아미크로(2.3%, 86건)이었다. 특히 LG전자의 경우 전 세계 출원의 26.6%를 차지해 2위와 격차가 컸다.
그 외에 한국 출원인으로는 38위 네이버(0.3%, 11건), 43위 전자통신연구원(0.3%, 10건) 등이 다출원인에 올랐다.
김주대 특허청 지능형로봇심사과장은 "로봇청소기는 정밀 제조업 기술과 인공지능 제어를 위한 정보기술의 융합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두 기술 모두에 강점이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가사노동 해방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도록, 특허청도 고품질의 특허 심사뿐만 아니라 특허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