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노하우나 재무관리, 정서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돌봄도 있습니다. 이미 10년 전에 '돌봄 민주주의'라는 책이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조안 트론토 교수에 의해서 발간이 되었는데, 최근에는 '돌봄 경제'라는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매년 우리나라의 소비 트렌드를 전망하는 서울대 김난도 교수 등 '트렌드 코리아' 팀은 내년도 키워드를 발표했는데, '분초사회' 등 10개의 트렌드 중에서 저는 '돌봄 경제(Care-based-Economy)'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저자들은 "돌봄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고 전제하면서, 공동체를 만들어 서로가 서로를 돌볼 때 인간은 생존하고 사회는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제 나이, 건강, 재산 등과 관계없이 돌봄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어쩌면 우리 모두가 돌봄을 제공하는 동시에 돌봄을 제공 받는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위에서 재무관리, 정서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일도 돌봄이라고 정의했는데, 이렇다면 돌봄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돌봄 경제'의 탄생 근거가 되겠지요.
저자들은 돌봄 경제는 누가 누구를 어떻게 돌보느냐를 기준으로 배려 돌봄, 정서 돌봄, 관계 돌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습니다. '배려 돌봄'은 환자, 장애인, 영유아, 어린이, 고령자 등 혼자서는 생활이 불편한 사람들의 신체적 어려움을 챙겨줄 수 있는 돌봄을 말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는 통념적인 돌봄 행위이지요. 아픈 사람을 보살피는 간병이 주된 분야입니다. 가족들이 바쁘기 때문에 돌봄 인력이 필요하고 이것을 매칭해주는 서비스 사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돌봄 경제와 관련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원격 돌봄의 확대와 이동식 화장실, 탈취 용품, 방향제 시장 등의 기술 제품 비즈니스가 급성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정서 돌봄입니다. 신체적 불편함을 넘어 마음까지 세심하게 보듬는 돌봄이지요. 고령자의 정서 돌봄도 중요하지만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환자들이 젊은 층에서도 급증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에 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부분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하면서 마음의 회복을 추구하지요.
마지막으로는 관계 돌봄입니다. 약자를 일방적으로 돕는다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고 돌봐주는 것을 말합니다. 저자들은 이제 보통 사람들의 일상도 돌봄의 대상으로 보편화되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꼭 부족해서 채워주는 게 아니라 같은 인간으로서 서로 기대는 것이지요. '분초사회'를 숨 가쁘게 살아야 하는 힘든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돌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김난도 교수 등이 펴낸 '트렌드 코리아 2024'에서는 낸시 폴브레 매사추세츠대 경제학 교수의 주장을 인용하면서 그 책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를 이끌어 경제 성장을 추구한 것이 자신의 이웃을 좇는 '보이지 않는 손'이었다면, 개인주의 사회에서 삶의 질을 결정하는 경제적 조건은 다른 사람을 돌보려는 '보이지 않는 가슴'이다."
이제 돌봄은 우리의 일상이며 경제 문제가 되었습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