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 범죄 논란도 잇따르면서 관세청이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을 꾸려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관세청은 24일 서울세관에서 전국 마약밀수 단속 관련 부서장 28명이 참석한 '전국세관 마약관계관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 고광효 관세청장은 그간의 마약밀수 단속실적과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마약밀수 척결에 관세청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한 마약밀수 단속 동향을 보면, 2023년 9월 말까지 501건 총 493kg 상당의 마약류가 국경 반입단계에서 적발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건수는 11% 줄었으나, 중량(kg)은 29% 늘었다. 경로별로는 국제우편(243kg·226건)이 가장 많았고, 특송(136kg·143건), 여행자(102kg·129건), 일반화물(12kg·3건) 순으로 밀수가 많았다.
특히 여행자들의 마약 밀수 행위가 늘고 있다. 여행자 마약 밀수 적발 건수는 12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특히 핸드캐리 수하물을 통한 마약류 적발이 전체 여행자 적발의 30% 수준을 차지하고 있었다. 품목별로는 필로폰(246kg·110건)이 가장 많고, 대마 120kg·151건), 케타민(31kg·49건), 합성대마(23kg·47건), MDMA(18kg·64건) 순으로 많았다.
적발한 마약 밀수범 중에서는 20~30대가 가장 많았으며 10대도 있었다. 10대는 국제우편으로 반입한 CBD오일·대마카트리지 등을, 20∼40대는 해외 직접구매를 이용한 케타민·MDMA 등 파티용 마약류, 50대 이상은 여행자를 통한 대마초·거통편 등이었다. 국가별로는 태국 등 동남아에서 가지고 오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가나와 노르웨이, 도미니카공화국 등에서 온 사례도 처음 적발했다.
관세청은 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을 구성해 본청과 전국세관의 조직을 아우르는 마약 단속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기로 했다. 종합적·유기적 단속체계를 구축하고 최근 신종마약 증가 등에 따라 과학적 대응의 필요성을 감안해 장비와 R&D 담당 부서도 함께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여행자 마약밀수 단속도 강화된다. 기내(핸드캐리) 수하물 일제검사 확대 등을 통해 여행자에 대한 검사율을 2배 이상 상향한다. 전신검색기 활용을 대폭 늘려 신체 은닉 등 마약밀수 사각지대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또 X-ray 검사를 회피하기 위한 지능화된 은닉 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마약류 은닉 의심화물에 대해 적극적인 개장검사를 하고 파괴·해체검사 비율도 대폭 상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태국과 네덜란드 관세당국과의 합동단속 성과를 점검하고 아세안·베트남 등 주요 마약류 공급국으로 공조 범위도 확대할 방침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