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택 삼남제약 대표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갈등이 세상을 어지럽게 하고 있다. 이 갈등의 원인을 따져 나간다면 복잡하게 얽힌 수천 년의 역사를 이해해야 하기에 너무 어렵지만 민족 갈등과 종교 갈등으로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우리나라같이 종교 갈등이 없는 나라도 없지만 세계사에서 종교 갈등을 빼면 얘깃거리가 반으로 줄어들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종교가 목숨인 나라도 많이 있다. 수많은 사람들의 순교를 딛고 일어선 가톨릭은 세월이 흐르면서 부작용이 생기기 시작했다.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가톨릭이라는 유일 종교가 만들어낸 부조리를 타파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다. 그렇다면 가톨릭은 그대로 쇠퇴했을까? 제수이트 교단을 비롯한 스스로 뼈를 깎는 스스로의 개혁을 시도하면서 다시 탄생했고, 세계 제일의 종교 중 하나로 건재하고 있다. 인도의 브라만교는 침략자인 아리안족의 종교였고, 오랜 세월 지나는 동안 형식에 치우치면서 많은 모순을 안게 된다. 이 모순을 타파하는 인도식 종교개혁이 바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불교인 것이고, 한때 인도 전체를 아우르는 대표 종교로 발전했다.
그렇다면 브라만교는 그대로 쇠퇴했을까? 인도의 민간 신앙과 결합하면서 힌두교로 재탄생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석가모니 부처님을 힌두교의 수많은 신 중 하나로 편입시켜 버림으로써 결국 다시 주류 종교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비록 인도에서는 쇠퇴했지만 불교는 동남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한국과 일본까지 전파되면서 발전했고, 세계 4대 종교로서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힌두교의 시스템을 차용하면서 스스로 위상을 높였다.
우리는 개혁을 얘기한다. 기존의 사회적 모순이 극에 달하면 그에 대한 반발로 일어나는 가장 큰 현상이 혁명이기에, 스스로 사회적 모순을 해소하지 못하면 혁명, 혹은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의 사회변혁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우리 사는 세상이 얼마나 안정되어 있는지,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풍요로운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삶이 힘들어지고 세상에 불만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만은 틀림없다. 사회의 흐르는 방향이 양극화이기 때문이다. 혁명은 워낙 커다란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그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 로베스 피에르의 프랑스혁명이 결국 실패하였고, 우리나라의 5·16 혁명도 군사정권이 끝난 뒤부터 '쿠데타'라는 이미지가 강해지면서 그 가치를 점점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불안한 혁명보다는 '개혁', Innovation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모순이 커지고 문제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진행되었을 때 개혁을 논하기 보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내부적 모순을 인정하고 조금씩 고쳐 나가는 '개선'이 개인적으로는 더 바람직할 것으로 믿는다. 온건한 방향의 개선을 하지 못하면 조금 더 과감한 개혁이 필요하게 되고, 개혁에 실패하면 과격한 사회 격변을 각오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서로 한 발짝 물러나면서 서로 조금씩 내 것을 나누어 가는 개선이 절실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기후변화의 위험을 얘기하면서 우리는 '임계점 1.5도가 이제 몇 년 남지 않았다'는 경고를 듣고 있다. 그렇지만 임계점은 지구 온도에만 사용될 단어가 아니다. 개선과 개혁의 과정을 망설이면서 사회적 골든 타임은 놓친다면 우리 사회는 임계점에 다다를 것이고 그 뒤에 후회해 봐야 아무 소용 없을 것이다. 서양 속담을 하나 더 인용하겠다. '마지막에는 지푸라기에도 낙타 허리가 부러진다(It's the last straw that breaks the camel's bac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