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열 수필가. |
외국에 비추어진 한국은 어디서나 연결되는 인터넷, 의료보험 체계, K팝을 비롯한 대중문화, 곳곳에 있는 편의점, 먹을 게 넘쳐나는 식문화, 안전한 밤 문화가 있어 설렘을 주는 나라다. 해외로 여행을 가 보면 우리나라는 편리한 공항·철도·지하철, 쇼핑공간 같은 고속도로 휴게소, 안전한 물, 깨끗한 공공 화장실, 하천 따라 산책길과 자전거길이 있어 참 살기 좋은 곳임을 깨닫는다.
그런 우리 사회에 연민이 유배되고 증오의 기운이 퍼진다. 가짜뉴스가 넘실대고 살인을 예고하는 글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등 분노를 터트리는 사건이 늘어난다. 무엇보다 밝고 안정적이어야 할 초등교육 현장에서 안타까운 일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기사를 보니 교권을 둘러싼 위축된 환경 때문에 교사들이 우울증에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이는 교육 현장만의 문제는 아니다. 작년에 우울증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100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한국은 세계사에서 유례없는 속도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지만 갈수록 웃음과 여유가 줄고 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우리 사회가 경쟁이 심한 데다 패자부활이 쉽지 않은 승자 독식의 문화도 한몫 거든다. 사실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갈등이나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나타난 것이다. 그런데도 일이 생기면 머리를 맞대 차분히 풀기보다는 처음부터 편을 나누어 싸움하듯 한다. 공감과 관용, 존중과 배려와 같은 '신뢰 자본'이 점점 줄고 있다.
갈등과 분열이 없는 이상적인 세계가 있다. 괴롭거나 불쾌한 감정이 생기면 약을 먹어 해소하고 계급에 따른 일만 하면 안락과 쾌락을 즐길 수 있고 얼굴이 늙지 않다가 정해진 시간에 순식간에 죽음을 맞는다. 과학은 이런 세계를 향해 가는지 모른다. 하지만 이곳에는 실연 불안 사랑 그리움 같은 감정을 가질 자유가 없다. 무엇보다 문학책을 읽거나 감정을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 전체주의와 과학이 결합할 때 나타나는 디스토피아를 그린 소설 '멋진 신세계'에 나오는 모습이다.
세상이 혼란하고 힘들면 이상향을 꿈꾸었다. 동아시아에서는 노자의 '소국과민'에서 영감을 받은 무릉도원. 십승지 같은 곳이다. 귀거래사로 잘 알려진 도연명은 이상향을 묘사한 도화원기를 지었다. 그곳은 고립된 채 살아가는 자급자족의 소박한 사회다. 과연 외부세계와 단절된 채 사는 삶이 행복할까. 그런다고 모든 욕망마저 사라지지 않는다. 결국 이상향은 헛된 꿈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
세상살이는 여러 관계에서 일어나는 감정들이 뒤엉켜 파도처럼 출렁대는 바다와 같다. 바다가 위험하다고 해서 배가 항구에만 있지 않듯이 우리는 거친 삶의 바다를 자유의지로 항해해야만 한다. 알베르 카뮈는 '시지프 신화'에서 인간의 본질은 부조리 속에서 살아갈 이유를 찾는 것이라고 삶의 긍정을 말한다.
우리는 완전한 원을 본 적도 없고 그것이 결코 실재할 수 없음을 알아도 그릴 수 있는 듯이 한다. 유토피아라는 말도 그렇다. 유토피아는 이 순간의 맑은 하늘 싱그런 바람 커피 한잔 따듯한 햇볕 속에서 행복을 느끼는 데서 있을 것이다. 하지만 꽉 막힌 벽 앞에 좌절하여 화풀이하거나 삶의 무게에 주저앉아 원망하거나 혼자만의 세계로 도피하는 사람들의 울음이 모여 헬조선을 외치고 있다.
유튜브에서 외다리 떡장수로 알려진 최영민씨 이야기다. 그는 고아로 자랐고 사고로 한쪽 다리가 불구인 채 안정적인 직장 없이 하루에 몇 가지 일을 해야 할 정도의 힘든 삶을 산다. 하지만 자신만의 시간 축척을 통해 내면의 가능성을 찾아 꿋꿋이 살아갈 이유를 만들고 있다. 세상에 의해 규정된 성공의 가치를 벗어나 보면 유토피아는 저 먼 곳에 있지 않고 바로 지금 여기, 마음먹기에 있는 게 아니겠는가.
김태열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