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부터 30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대전은 과학도시로 도시를 브랜딩하고 동시에 각종 연구개발(R&D) 분야를 투자·유치해왔지만, 지역경제 이익으로 직접 순환시키진 못했다. 2000년대 이후 대전시장이 4년마다 바뀌면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했고 대규모 사업은 줄줄이 좌초되거나 표류해왔다.
대전엑스포 개최 30년인 올해 민선 8기 2년 차에 들어서면서 대전시는 체질개선을 위한 발돋움을 시작했다. 자체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대규모 미래 먹거리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도 보이고 있다. 그중 나노·반도체와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드론·로봇까지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일류경제도시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물론 기대하는 만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진 않다. 중도일보는 대전시가 제시하는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세부 사업의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보완해야 하는 지점을 담아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대전시의 경제도시 플랜을 진단하려 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대전의 미래 먹거리, 4대 전략사업 성패에 달렸다
2. 돌파구 절실한 나노·반도체 산업… 국가산단 선정이 희망
3. 대전형 바이오 생태계, 융합 분야 선점이 핵심
4. 대전 우주산업을 글로벌 우주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5.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 그리고, 최대 국방기업 실증 도시
대전시는 도시의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해 우주산업을 성장시켜, 대전을 글로벌 우주산업의 핵심으로 거점화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대전은 연구개발과 인적자원 등 우주항공 산업 관련 과학기술 인프라가 전국에서 가장 집약된 도시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를 성공시킨 KAIST와 최근 누리호와 다누리호의 성공을 이끈 항공우주연구원이 자리잡은 우주산업 메카이며 천문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13개 출연연을 필두로, 60개 이상의 우주항공 관련 기업이 포진해 있다.
이와 함께 유성구 교촌동 일원에 160만 평의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며 우주항공 산업 관련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시는 인공위성의 부품 장비 생산 기업을 육성을 지원해 우주 산업의 연구, 인재, 개발, 생산까지 포함하는 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다. 산업용지 500만 평을 조성하고 우주 분야 스타트업 등 관련 산업에 집중 투자를 독려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우주특별시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첨단 우주도시 대전.(사진=대전시 제공) |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가 수행할 핵심 역할은 ▲임무 중심 우주 교육 시설·환경 구축 ▲미래 우주 인재 양성 프로그램 개발·운영 ▲산학연 글로벌 우주 교육 네트워크 허브 조성 등이다.
(사진=대전시 제공) |
물론 시 차원에서 떨쳐내야 하는 의문부호도 존재한다. 연구·인재개발 특화에 초점을 맞춘 만큼 점차 고도로 숙련된 인력들이 대전에서 배출될 예정이지만, 관련 기업이 충분치 않은 현재 지역 여건을 고려하면 결국엔 타 지역으로의 인재 유출로 귀결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산업육성 촉진과 더불어 우주기업 육성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있다. 대전에서 키운 인재가 계속해서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의 활로와 관련 인프라를 충분히 구축하겠단 구상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우주산업 육성과 국가우주경쟁력 제고란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라며 "인재 유출을 우려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훌륭한 인적자원을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대전에 깔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