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언 LX 대전세종충남본부 공간정보사업처장. |
2012년 7월 1일, 우리나라 17번째 광역자치단체인 세종시가 세종대왕의 이름을 받아 발돋움을 했다. 충청도(충북과 충남)관할지역이 합병됨에 따라 많은 이원화된 행정정보들도 한곳에 모이게 됐고, '화합'과 '기록'의 중요성을 세종시에게 일깨워줬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출현으로 2021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는 지적불부합지 해소 및 스마트 공간정보 구현을 위한 '플랫폼' 구축사업을 LX와 착수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라 우리가 활용하는 정보의 종류와 범위는 폭발적으로 팽창했는데, 방대한 데이터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시각화'가 중요하다. 그렇기에 세종시는 숫자나 서류, 한글이나 엑셀파일로 구성돼있던 행정정보와 공간정보를 합쳐 도형객체를 지도상에서 활용하는'세종공간정보포털(이하 세종플랫폼)'을 구축했다.
세종시는 3단계로 구분지어 보다 면밀하게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2023년 4월 1단계 구축을 통해 AI를 활용한 국공유지 탐지 분석 서비스등 3종의 서비스 모델과 7종의 행정지도를 구성하며 첫 단계의 결실을 맺었다.
올해 7월부터는 1단계에 구축한 플랫폼을 고도화 함과 동시에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직접적으로 행정을 지원한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 도입을 통해 인허가 통합지원, 도시 숲 조성 및 관리, 지하시설물 관리, 부동산 이상거래 모니터링 등에 활용 예정이다.
2025년 진행할 3단계는 도시 공간분석과 시민과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생활 밀접 주제도 서비스를 구성해 시민의 의견이 담긴 스마트 국토정보를 기록·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살다가 한 번쯤은 찰나의 순간이 영원처럼 기억되는 마법같은 순간을 우리는 마주하게 된다. 소중한 경험에 대한 기억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큰 보탬을 주곤 하는데, 아쉽게도 인간은 망각의 동물인지라 수많은 경험을 다 기억해 낼 순 없다. 세종시는 앞으로도 공간정보 플랫폼을 활용한 행정정보의 집대성을 통해 과거 서류형태의 행정정보는 디지털화하고, 신규 생성정보는 새로이 기록해 과거와 현재를 고루 살필 수 있는 그릇을 만들 것이다.
시민이 체감하는 스마트 행정실현을 목표로 세종시와 LX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에 앞장서며 행정정보의 표준화, 체계적인 관리와 기록을 위해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세종플랫폼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용을 통해 다가올 미래를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박준언 LX 대전세종충남본부 공간정보사업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