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엑스포93'은 방문객만 1450만 명, 정부와 민간재정 투입 2조 원, 세계 108개국 33개 국제기구 참여, 여기에 국내 대기업들까지 개별 전시관을 지원하는 막대한 경제유발 효과까지 만들어 냈다.
그로부터 30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대전은 과학도시로 도시를 브랜딩하고 동시에 각종 연구개발(R&D) 분야를 투자·유치해왔지만, 지역경제 이익으로 직접 순환시키진 못했다. 2000년대 이후 대전시장이 4년마다 바뀌면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했고 대규모 사업은 줄줄이 좌초되거나 표류해왔다.
대전엑스포 개최 30년인 올해 민선 8기 2년 차에 들어서면서 대전시는 체질개선을 위한 발돋움을 시작했다. 자체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대규모 미래 먹거리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도 보이고 있다. 그중 나노·반도체와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드론·로봇까지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일류경제도시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물론 기대하는 만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진 않다. 중도일보는 대전시가 제시하는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세부 사업의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보완해야 하는 지점을 담아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대전시의 경제도시 플랜을 진단하려 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대전의 미래 먹거리, 4대 전략사업 성패에 달렸다
2. 돌파구 절실한 나노·반도체 산업… 국가산단 선정이 희망
3. 대전형 바이오 생태계, 융합 분야 선점이 핵심
4. 대전 우주산업을 글로벌 우주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5.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 그리고, 최대 국방기업 실증 도시
대전시의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계획안.(사진=대전시 제공) |
시는 새로운 미래 반도체 산업생태계 구축을 통해 지역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겠단 의지를 내세우며 민선 8기 1년 동안 다양한 국책사업을 추진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160만 평 최종 후보지 선정'이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2030년까지 사업비 3조 4585억 원을 투입, 유성구 교촌동 일원에 160만 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만드는 사업이다.
민선8기 출범 1년 10대 뉴스.(사진=대전시 제공) |
이와 함께 1484억 원 규모의 반도체 인재육성 6대 국책사업 공모와 178억 원 규모의 차세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초성능평가 플랫폼 공모까지 잇따라 따내며 나노·반도체 거점도시 구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선정 공모에서 떨어지며 추진 동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는 점은 아쉽다. 특화단지에 선정된 곳은 향후 산업단지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관련 인허가 사항 신속 처리를 비롯해 예비타당성 조사와 각종 부담금 면제 등 파격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었지만, 정부는 결국 반도체와 관련한 기업 인프라를 이미 갖춘 용인·평택과 구미를 선택했다.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든 대전시는 자체적으로 반도체산업 육성방안을 추진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단 대안을 내놨다. 특화단지 유치 실패가 국가산단 추진 동력의 약화로 이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일념에서다. 시는 ▲기반구축 ▲기업지원 ▲기술개발 ▲인재양성 분야에서 잇달아 선정된 공모사업을 기반으로 KAIST, ETRI, 나노종합기술원 등 기존 연구 역량을 연계해 반도체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는 연구·교육캠퍼스, 설계캠퍼스, 제조캠퍼스를 조성해 수도권 반도체 생산거점과 협력할 수 있는 R&D혁신형 산업단지로 육성하고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반도체 특화단지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별개의 문제로 국가산단은 정상적인 절차로 가고 있고 기본 취지에 맞춰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며 "개발제한구역 문제도 신청 시 국토부, 농림부와 절대농지 부분에 대해 협의를 이미 마쳤다. 국가산단을 차질 없이 명품 반도체 산업단지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