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은석 건양대 국방경찰학부 교수 |
한글은 인간과 자연의 소리까지 최대한 표기하는 문자로서 천문학적인 양의 음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시각적 명료성이 분명하면서도 유사성을 꾀한 기하학적 디자인의 글씨로 지금도 다양한 의류, 산업디자인에 쓰인다. 한글은 컴퓨터 자판과 스마트폰에 최적화한 정보화 시대에 가장 적합한 문자로 IT 강국의 동력이 되고 있다. 한글은 1997년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된 세계가 인정하는 독창적인 문자로 배우기 쉬워 글자 없는 많은 나라에서 한글을 배우고 있다. 세계 10억 명의 성인 문맹자를 한글로 깨우칠 수 있다고 하니 앞으로 세계 공통 문자로써 한글을 기대해 본다.
10월 9일은 국경일로 기념하는 한글날이다. 단순히 하루 쉬는 날이 아니라 한글을 돌아보고 우리글을 소중하게 하며 널리 홍보하는 국경일이다. 전 세계에서 글자 만든 날을 기념하는 대한민국의 국경일이니 얼마나 자랑스런 일인가? 한국인보다 더 한글을 사랑한 독립운동가 고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박사는 1886년 최초의 근대식 공립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에 감리교 선교사로 한글의 우수성을 느낀 그는 한글을 공부해 한글 인문지리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출간하여 외국에 전파하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한글의 편리성으로 한글이 다양한 형태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체 불명의 신조어로 만들어 지기도 한다. 국뽕, 금수저, 진지충, 빠, 짱, 치느님 등 인터넷 신조어들이 만들어지고 강퇴, 갑툭퇴, 먹퇴, 솔까말, 열폭, 카공족, 커담 등 앞 글자만으로 다양한 단어들이 일상화 되고 있다. 이러한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사회적으로 부 적응하는 꼰대로 인식 되기도 한다. 국적 불명의 무분별한 외래어, 앞 글자의 신조어 조합 등 바쁜 일상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되지만 한글을 가장 아름답고 훌륭한 세계 공통 언어로 발전하게 노력하면 더욱 좋겠다.
25년 전 외국 관련 경찰업무를 하면서 '콩글리시'를 추방하자는 홍보를 하였다. 무분별하게 쓰이는 국적 불명의 외래어를 추방하고 바르게 한글을 쓰자는 취지였다. 우리말 바로 쓰기, 한글 사랑 운동, 한글 캠페인 등 다양한 시민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급속한 시대 변화를 따라가기에 부족한 것 같다. 한글날을 맞아 각계에서 다채로운 한글 사랑 운동과 홍보를 하고 있다. 일시적인 홍보로 끝나지 않고 한글 바로 쓰기, 외래어 표기 방법 통일, 인터넷 신조어의 정비와 인문학적 가치를 높이는 문학 활동 지원 등 다양한 한글 사랑 운동이 함께하면 더욱 좋겠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한다. 세상에서 제일 듣기 좋은 소리는 책 읽는 소리라고 한다. 컴퓨터로 인터넷 시대를 선도한 빌 게이츠는 자신을 만든 것은 어린 시절 동네 도서관이었다고 하는데 급속한 인터넷 시대에 책을 읽고 책을 쓰는 사람은 줄어들었다. 한글을 사랑하는 것은 한글로 만들어진 책을 읽고 쓰는 것이 아닌가? 지난날 개인적으로 시, 산문집, 교양서 등 여러 권을 발행해 보고 서재에 2000여 권의 책을 비치하고 있지만, 가장 편안하고 기분 좋은 장소는 신간책이 즐비한 동네 책방이다. 진정한 한글 사랑은 한글로 발행된 책을 사주고 읽어주는 것도 가장 큰사랑이 아닌가 한다.
심은석 건양대 국방경찰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