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대덕특구 혁신환경 조성 선도사업을 통해 조성할 '첨단바이오메디컬 혁신지구' 조감도. (대전시 제공) |
그로부터 30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대전은 과학도시로 도시를 브랜딩하고 동시에 각종 연구개발(R&D) 분야를 투자·유치해왔지만, 지역경제 이익으로 직접 순환시키진 못했다. 2000년대 이후 대전시장이 4년마다 바뀌면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했고 대규모 사업은 줄줄이 좌초되거나 표류해왔다.
대전엑스포 개최 30년인 올해 민선 8기 2년 차에 들어서면서 대전시는 체질개선을 위한 발돋움을 시작했다. 자체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대규모 미래 먹거리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도 보이고 있다. 그중 나노·반도체와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드론·로봇까지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일류경제도시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물론 기대하는 만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진 않다. 중도일보는 대전시가 제시하는 4대 핵심전략사업을 중심으로 세부 사업의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보완해야 하는 지점을 담아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대전시의 경제도시 플랜을 진단하려 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대전의 미래 먹거리, 4대 전략사업 성패에 달렸다
2. 돌파구 절실한 나노·반도체 산업… 국가산단 선정이 희망
3. 대전형 바이오 생태계, 융합 분야 선점이 핵심
4. 대전 우주산업을 글로벌 우주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5.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 그리고, 최대 국방기업 실증 도시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조감도. (사진제공=대전시) |
지금까지 대전 경제구조의 치명적인 오점은 산업구조가 국가기관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커지면서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첨단산업의 성장이 더뎌졌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맞춤형 산업단지의 공급 지연으로 기업을 육성하고 유치하기 위한 여건까지 마련되지 않으면서 주변에 마땅한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이 자리 잡지 못했다.
이로 인해 양질의 일자리가 점차 감소했고 결국 지역 대학과 각종 연구단지에서 배출한 우수 산업 인력까지 다른 도시로 유출된 점이 대전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시는 이 같은 한계를 탈피하겠단 의지에서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드론·로봇산업 등 4대 전략산업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대전의 강점인 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범국가 차원의 첨단전략산업 경제구조를 구축해 '첨단산업 육성-우수인재 양성-유망기업 성장'으로 연계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단 구상이다.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시는 4대 전략산업을 대전의 핵심 산업으로 일궈내기 위해 4대 분야 14개 추진과제를 설정하며 총력전을 펼쳤고 1년 여 간 각 분야에서 유의미한 성과도 다수 이뤘다.
가장 굵직한 결과로는 글로벌 제약사 독일 머크(Merck)사 투자유치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대전-경남-전남 우주산업클러스터 3축 확정,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등이다.
지난 8월 대전시와 방위사업청이 개최한 국방 AI&반도체 발전 포럼. |
이장우 시장은 "지속가능한 도시, 포용 도시는 시민에게 양질의 일자리 제공과 경제적인 뒷받침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대전은 첨단기술 중심의 산업 구조를 재편 중이며 이를 통해 첨단산업 기반으로 좋은 일자리가 넘치고 사람이 모이고 싶어 하는 일류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현제·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