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DB |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 가격은 전날(10일) 기준 6826원이었다. '금배추'로 불리던 1년 전(7257원)보다 5.9% 저렴하지만, 평년(6442원)보다는 6%가량 비싸다.
같은 날 기준 10kg 도매가도 1만7200원으로 1년 전(1만7465원)보다 싸지만, 평년(1만429원)보다 가격이 높다.
지난해에는 9월 15일 기준 배추 한 포기 소매가가 1만204원까지 뛰었지만, 가격 상승과 함께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김장철인 11월에는 한 포기 가격이 3000원대까지 떨어진 바 있다.
배추 가격도 올랐지만, 값 비싼 소금은 더 큰 부담이다. 굵은 소금 5kg 소매가는 1만4217원으로 1년 전(1만1195원)보다 27% 올랐고, 평년(8249원)보다 72.3%나 비싸다.
소금 값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차례 올랐다. 이어 장마 이후 태풍과 폭우 등 기상 악화로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떨어지면서 가격이 오르고 있다.
소금값과 더불어 인건비와 부자재 등 비용들도 줄줄이 오르면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10일 기준 생강 1㎏은 도매가 1만 8053원으로 전년(8768원) 대비 105.8% 상승했고 고춧가루 1㎏은 도매가 3만 5966원으로 지난해(3만 1725원)보다 13.3% 더 비싸다. 깐마늘, 양파, 대파, 쪽파가 (1㎏ 기준)도 각각 전달보다 17.1%, 10.6%, 14.9%, 16.8% 상승했다.
이 같은 상황에 정부는 지난해 같은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가격 급등이 일시적인 수급불균형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배추는 고랭지 배추와 가을 배추로 전환하는 10월 중하순이면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가을 배추 재배면적은 1만 3856 ha로 평년 대비 2.6% 더 많다.
식품업계에서는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이상기온으로 채소 가격이 뜰썩이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비를 요구했다.
지역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김장에는 배추를 포함해 여러 채소와 양념들이 들어가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면서 "고물가 시대에 국민 대다수가 먹는 식재료인 만큼 조금만 상승해도 부담감이 더 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11월 한국물가정보를 보면 대형마트 기준(4인 가족) 배추 20포기를 김장하는 데 드는 비용은 40만 원, 전통시장은 1만 원 저렴한 39만 원으로 조사됐다. 대형마트(29만 8000원)와 전통시장(27만 5000원)은 모두 1년 새 30~40% 상당 올랐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