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수학 사교육을 시작하는 나이도 어려졌다. 한 언론조사에서 초교 입학 전에 수학 사교육을 시작한 비율이 70.6%로 영어(61.3%)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문제를 풀기 위해선 먼저 문제를 읽고 이해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글도 빠르게 떼주고 수학도 함께 가르치는 일타강사가 인기라는 사실도, 유명 수학학원에 입학하기 위한 과외가 성행한다는 뉴스도 더는 놀랍지 않다.
최근 '공태기(공부와 권태기의 합성어)'를 겪고 있다는 초6 학생을 상담하는 유튜브 영상을 본 적 있다. 영상에서 아이는 고등학교 과정을 선행 중이며 하루 최대 공부시간 20시간을 기록한 적이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는 Y대 의대에 가기 위해서라고…. 이른 나이에 뚜렷한 목표를 갖고 노력하는 모습이 신기하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한 반면, 한창 뛰놀며 몸도 마음도 성장해야 할 시기에 긴 시간을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모습이 안쓰럽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이 아이의 꿈이 '왜 의사가 되고 싶고,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지'가 아닌 '의대 진학'이라는 얘기를 들으며, 혹시 자녀를 '의치한약수(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에 보내고자 하는 부모의 욕망이 아이에게 반영된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대학 진학만을 위해 수년간 공식들을 줄줄이 암기해 기계처럼 끊임없이 문제를 풀어대는 수학이 재밌을 리가 없다. 어렵고 재미도 없으니 끈기와 집중력으로 버티다가도 지치고 포기하기 십상이다.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수학이 어려워도 할 수 있다'는 의욕과 자신감을 불어 넣어줄 수학 공부법은 지구촌 모든 부모와 교사들의 풀리지 않는 난제일 것이다.
난 수학을 좋아한다. 문제를 푸는 과정은 더디고 복잡하고 어렵기도 하지만 정답이 분명하고 명쾌하다는 것이 수학의 매력이다. 하지만 처음부터 좋아했던 것은 아니다. 초교 입학 전 구구단을 다 못 외워서 엄마에게 혼이 난 적이 있다. 왜 이걸 외워야 하는지 이유도 모른 채 엄마를 원망하면서 앵무새처럼 구구단을 머리에 욱여넣었다. '삼삼은 구'가 '3 곱하기 3'이고 '3을 3번 더한 수'와 같다는 의미는 학교에 들어가서야 알았다. 개념을 깨우치고 나니 구구단의 의미도 알게 되고 산수가 쉬워졌다. 수학의 매력에 본격적으로 빠진 것은 고교 때의 수학선생님 덕이 크다. 당시 수업시간 내내 선생님과 문답을 주고받거나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것과는 다른 방식의 풀이도 시도해보면서 문제를 풀곤 했는데 그 시간이 그렇게 재미있을 수가 없었다. 이후 고3의 무덤이라는 미분, 적분, 함수도 마찬가지. 하얀 연습장이 새까매지도록 문제풀이를 하고 마침내 답을 도출했을 때의 보람과 쾌감이란…. 그 시절의 유쾌한 경험 덕분에 아직도 수학은 내게 재미있는 학문으로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내 아이도 엄마를 가르치셨던 선생님과 같은 '인생의 교육자'를 만나 '수사자(수학을 사랑하는 자)'가 되길 바래본다.
현옥란 뉴스디지털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