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놀이특공대 참여 아동이 지역 어르신께 아동의 놀 권리를 설명하고 있다. |
중촌사회복지관의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대전지역본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 중인 아동의 놀 권리 보장 사업 '놀이특공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 아동들의 이야기다.
2021 세이브더칠드런 연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이들의 아동 행복도는 35개국 중 31등으로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인다. 대표적 원인으로 대한민국의 아동은 쉬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꼽았다. 같은 조사에서 '휴식과 여가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아동의 비율이 48.9%로 나타나 응답한 아이들의 절반에 육박했다. 아이들이 학교를 안 가고 싶다는 말을 장난으로 받아들이면 안 되는 이유이다.
놀이가 중요한 이유는 아동은 놀이를 통해 창의성, 상상력, 사회성 등 모든 면이 성장하기 때문이다. 아동의 놀 권리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도 명시되어 있고, '아동기본법' 입법이 확실시되고 있는 것을 보아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어떻게 아동의 놀 권리를 지켜야 하는지 잘 모른다. 그래서 중촌사회복지관의 놀 권리 보장 프로그램 '놀이특공대'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조강윤(중앙초 5학년), 송예진(목양초 5학년), 김유건(목양초 5학년), 김수아(목동초 6학년), 이유나(목동초 6학년) 학생들에게 놀 권리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물어봤다.
Q. 놀 권리에 대해 평소에 알고 있었나요?
A. 아니요! 정확히는 몰랐어요. 어린이는 놀 권리가 있다는 것만 알고 있었어요.
Q. 놀 권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A. 꼭 지켜져야 해요!
Q. 잘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A. 잘 지켜지지 않아요. 놀려면 친구들이 있어야 하는데 친구들은 학교 끝나면 학원에 가요. 놀 친구들이 없어서 놀 수가 없어요. 놀려면 친구들이 있어야 하는데 만날 수 없어요. 그리고 놀이터도 시시해요. 1학년 때 놀던 놀이터에서 지금도 놀아요.
Q. 여러분의 일상에서 어떻게 하면 여러분의 놀 권리가 지켜지는 것일까요?
A. 잔소리 안 듣고, 학교를 안 가고, 학원을 안 가면 돼요. 그리고 하고 싶은 걸 하면 돼요. 놀이특공대도 많이 놀 줄 알고 신청했어요. 그런데 많이 놀진 않았는데 이상하게 재미있었어요. 특히 캠페인 활동하는 게 재미있었는데, 동네 어른들에게 놀 권리를 설명해 드리고 우산도 드리고 뿌듯했어요. 더운 날 열심히 한다고 동네 미용실 사장님이 수건으로 땀도 닦아 주시고 우산 받으신 어르신들도 음료수를 많이 가져다주셨어요.
Q. 여러분이 느낀 뿌듯함은 어디서 나오는 건가요?
A. 마음이요!
Q. 그러면 여러분들 캠페인 활동도 놀이라고 느껴지셨나요?
A. 네! 놀이기는 한데, 약간 고난도의 놀이? 캠페인 활동을 더 많이 했으면 좋겠어요.
![]() |
▲ 놀이특공대 아동 놀 권리 캠페인 활동 |
놀 권리가 보장된 사회는 아동이 인격체로서 존중된다. 이 과정에서 아동과 어른이 서로를 잘 이해한다. 이는 세대 갈등이나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궁극적으로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해서 좋은 어른이 되고 나아가 좋은 사회가 된다.
놀이특공대 프로그램 담당자인 김효은 사회복지사는 "놀이특공대 프로그램을 4개월 진행하고 운영한 캠페인 활동에서 아이들이 성장한 것을 직접 확인했어요. 아이들이 직접 지역사회를 다니며 어른들에게 서슴없이 자신의 권리를 설명하고, 놀 권리를 지켜달라고 이야기했다."고 말한다.
또 "냉담한 어른의 반응으로 상처받기도 했지만 금방 털어내고 다시 자신의 권리를 설명하는 아이들이 대견했어요. 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우리 지역의 아동 놀 권리 주체로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도 했다.
"놀 권리가 아동의 권리이지만 현실은 아동보다 놀 권리를 모르는 어른들로 인해 결정된다. 학교의 교육 시간, 학원을 가는 것, 나아가 교육정책 등등……. 때문에 아동정책을 비롯한 아동 관련 활동들은 아동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 어른은 아동이 권리를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김석겸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