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의 고향인 충남 공주에서는 인절미를 '공주떡'이라고 해 크게 자랑한다. 그 이유는 역사적 사실과 관련되어 있어 매우 흥미롭다. 공주에는 백제 때 쌓은 성인 공산성(公山城)이 있다. 공산성의 진남루(鎭南樓)에서 금서루(錦西樓) 쪽으로 언덕길을 조금 올라가면, 쌍수정(雙樹亭)과 쌍수정사적비(雙樹亭史蹟碑)가 있다. 그 옆에 '인절미의 고향 공주' 안내판이 서 있다. 여기에는 '인절미'라는 이름이 붙여진 내력이 적혀있다.
|
인절미를 설명하는 공주시 팻말 |
서기 1624년(인조 2) 이괄(李适 1587~1624)의 난을 피해 공산성에 온 조선 16대 인조(仁祖) 임금은 이곳에 서 있던 두 그루의 나무[雙樹] 밑에서 반란이 진압되기를 기다렸다. 그때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에 사는 임(任)씨가 콩고물에 무친 떡을 진상(進上)했다. 왕은 시장한 참에 연거푸 몇 개를 먹고 나서, 떡 이름이 무어냐고 물었다. 그러나 떡 이름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왕은 맛있는 떡을 임씨가 진상하였다는 말을 듣고, 그 맛이 빼어나 '절미(絶味, 뛰어난 맛)'이니, '임절미(任絶味)'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세월이 지나면서 '임절미'는 발음하기 편하게 '인절미'로 바뀌고,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서 '공주떡'이 되었다고 한다.
|
인절미 만드는 모습. |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仁祖) 임금의 재위 연대는 1623~1649년이다. 그리고 이괄(李适 )의 난은 1624년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인조 임금의 수레가 피란 차 공주로 향한 것은 1624년 2월 13일이며, 공주에 머무른 것은 그해 2월 14일부터 2월 17일까지이며, 2월 18일 공주를 떠났다. 따라서 '임절미(任絶味)' 설이 진짜라면, 당연히 '인절미'라는 말은 1624년 2월 이후 한참 세월이 흐른 뒤에 '임(任)→임→인'으로 변음되었을 터, 아무리 봐준다 하더라도 1624년 2월 이전에는 그러한 말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조선 전기의 어문학자 최세진(崔世珍:1468~1542년)이 1517년에 쓴 '사성통해(四聲通解)'에 '飯餠 今俗呼(고) 인졀미'라는 말이 이미 나온다. 그러니 위 임서방설은 많이 왜곡되었거나 굳이 임절미(任絶味)를 인절미(引節米)로 같다 맞춰 이야기의 신빙성을 떨어트린 것이 된다.
|
인절미 길게 만들기 기록갱신 |
1690년(숙종 16) 역관(譯官) 김경준(金敬俊) ·김지남(金指南) ·신이행(愼以行) 등이 편찬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역해유해(譯語類解)'에도 '고 인졀미' 또는 '芝麻餠 인졀미'가 나온다.
조선(영조 42년)에 유중림(1705~1771)이 1766년에 증보한 방대한 종합농업기술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이 쓴 '성호사설(星湖僿說)'에도 콩고물을 묻힌 인절미가 기록되어 있다. 인절미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 : 1788∼1863 )이 백과사전식으로 찬술한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서 증명되는 것처럼 '인절미(引切米)'이며, 찹쌀을 불려 쪄서 떡메로 쳐 찰기가 생긴 떡이므로 매우 부드럽고 쫀득하여 쭈욱~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잡아당겨 떼어먹으므로 '引(끌 인)'자를 썼고, 잘게 썰어 만들기 때문에 '切=截(자를 절)'자를 쓴 것이다.
|
인절미 만드는 모습 |
'인절미(引節米)'는 16세기 문헌에서 '인졀미'로 처음 나타난다. '인졀미'의 제2음절 모음이 단모음화해 20세기에 '인절미(引節米)'로 나타난다. 1895년에 나온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대역사전 '국한회어(國韓會語)'에 '인졀미'를 '인절병(引切餠)'으로 기록되어 있어 그 만드는 과정을 유추해 한자어로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주 떡에 대한 이야기의 신빙성을 높이려면 '인절미(引切米)'의 유래를 인용하기보다 공주 특산물의 하나인 밤을 소로 한 찹쌀떡 '임절미(任絶味)' 그 자체의 브랜드로도 얼마든지 스토리텔링과 함께 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인조(仁祖) 임금이 명명(命名)한 대로 '임절미(任絶味)'로 족하며, 이 '임절미(任絶味)'가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 '공주떡'이 되었다고 하면 된다. 굳이 "세월이 지나면서 '임절미'는 발음하기 편하게 '인절미'로 바뀌고,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서 '공주떡'이 되었다고 한다"는 문장은 필요가 없다.
김영복/식생활문화연구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