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신규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산업 지형도. (사진제공=대전시) |
기업 중심 도시로 탈바꿈 하기 위해 2030년까지 산업용지 20개 지구, 부지 규모만 535만 평에 달하는 공급 계획을 발표하고 행정력을 집중하는 가운데 실제 기업들의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고 대전으로 연쇄 기업 이전이 현실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대전시에 따르면 9월 11일 기준 민선 8기가 시작한 2022년 7월부터 대기업을 포함해 중소·유망기업과 대전시의 입주·이전 업무협약(MOU)은 총 27건이다. 투자금액으로 환산한다면 9594억 원 규모다. 신규 고용도 2154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협약을 맺은 기업들은 당장 11월 분양을 앞두고 있는 서구 평촌 일반산업단지 또는 12월 용지공급 공고를 예고하고 있는 대화동 대전산업단지 등을 포함해 대전시가 발표한 20개 산업단지로 들어서게 된다.
대전시는 산업단지 조성 첫 단계로 2026년까지 서구 평촌, 장대 도시첨단산업단지, 안산 첨단국방산업단지, 탑립·전민지구, 한남대캠퍼스까지 5곳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규모로는 101만 평이며, 사업비도 2조 2942억 원이다.
여기에 2차로 8조 8254억 원을 들여 신규 15개 추가 산업단지(434만 평)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최종적으로 2030년까지 20개 산업단지를 만들고 535만 평에 11조가 넘는 규모로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대전시는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사업비(11조 원) 대부분을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에 분양 방식을 통해 충당하겠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기업 유치가 가장 큰 숙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주·이전 기업에 대한 지원을 적극 홍보하고 있는데, 입지보조금으로 토지 매입가의 일부를 지원하기도 하며 설치투자 보조금 형태를 지원하는 방식도 있다. 이외에 가능한 선에서 사업 분야에 따른 각종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 등도 강조하며 기업유치에 적극 나서는 중이다.
물론 우려되는 부분은 있다. 기업에 대한 혜택을 주기 위해 기업 규모와 분야에 따라 시비로 지원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2030년 모든 분양에 앞서 준비 과정을 마치더라도 당시 부동산 시장 또는 경제 사정에 따라 상황은 얼마든지 유동적일 수 있다. 실제 대전시와 기업이 맺은 업무협약은 3년에서 5년이 지나면 자동실효가 되기 때문에 입주의 강제성도 없다.
대전시는 인재 확보가 용이한 도심 산업단지의 지리적 장점과 일부 산단의 경우 다른 시·도에 비해 저렴한 분양가 등을 고려하면 부지조성까지만 이뤄진다면 기업 유치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첨단 기술과 고급 인재 그리고 지리적 우수성, 여기에 분야별로 조성되는 산업단지라는 장점들이 많은 대기업, 중견기업, 강소기업까지 이전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계획대로만 추진한다면 2030년까지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대전을 손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