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동남구 북면(北面)은 남부지역인 용암리(龍岩里)·은지리(銀芝里)·연춘리(延春里) 일대에 평야 지대를 이룬다. 남단부에서는 주로 쌀농사가 이루어지고 구릉지에서는 밤·사과·버섯 등의 특용작물 재배한다. 교통은 목천천 연안을 따르는 지방도가 면의 주된 간선 도로이고, 남단부에는 천안~병천 간 지방도가 통과한다. 면사무소는 오곡리(梧谷里)에 있지만, 북면의 실질적인 중심기능 역할을 하는 곳은 연춘리(延春里)다.
버스에 내리니 갈대가 무성한 병천천(竝川川)이 흐르고 다리가 눈에 들어온다. 병천천(竝川川)을 아오내 도는 아우내라고 하는데, 금북정맥 엽돈재 남쪽에서 발원하여 북면, 병천면, 수신면, 옥산면을 지나 강내면 석화리의 미호천교 위에서 미호천에 합수되는 47.3km의 물줄기를 이룬다.
이 병천천에서 지난 7월 27일 천안의 청정지역인 북면 병천천(竝川川)에서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 교란 생물인 '미국 가재'의 서식이 충남 최초로 확인되어 환경단체들을 긴장시킨 적이 있다.
복구정 모습 |
마을 뒷산에 올라가 보면 큰 바위가 거북이가 엎드려 용연못(池)에 뛰어내릴 듯한 형국을 하고 있고, 주변에 거북 알을 닮은 둥근 넙적한 바위가 여러 개 모여 있었다고 한다. 풍치가 뛰어난 이곳 엎드린 거북이 등 같은 바위 위에 조선 선조 때 강릉김씨인 백인당(百忍堂) 김구연(金九淵1582~?)이 복구정(伏龜亭)을 세웠으며, 영조 때 문장가인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 1712~1775), 만화당(晩華堂) 유진한(柳振漢, 1711~1791), 죽동 이인실, 구정 이세희 등 여러선비들이 늘 이곳에 모여서 시를 지으며 놀았다고 한다.
그런데 복구정(伏龜亭)은 장마로 없어져 1964년에 강릉김씨 종중에서 새로 평지에 세웠고, 용연못(池)이나 병천천(竝川川)으로 흐르는 물길도 다 매립된 상태다. 그러나 복구정 옆에 작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에 도암(陶庵) 이재(李縡 1680~1746) 의 시가 새겨져 있다. "老木有高意(노목유고의) 노목은 옛 스러운 정취를 지녔고 淸川流不停(청천류부정) 맑은 시냇물은 쉼 없이 흐르네 秋陽無限思(추양무한사) 가을볕 아래 끝없는 생각에 獨上伏龜亭(독상복구정) 홀로 복구정에 오르노라" 이 시(詩)에 쉼 없이 흐르는 맑은 시냇물 병천천에는 새뱅이가 물 숲을 헤치며 서식했으리라 본다.
복구정 옆 이재의 시가 새겨진 바위 |
"샘골댁은 아들 칠상이를 데리고 봇도랑의 물굽이나 높낮이가 다른 논귀를 찾아다니고 있었다. 토하를 뜨기 위해서였다. 맑은 물줄기를 좋아하는 토하는 지형의 차이로 물흐름이 달라지는 지점에 떼를 지어 바글거렸다. 손가락 한 마디보다 조금씩 긴 토하는 쏟아져 내리는 물줄기를 거슬러 올라가지도 못하고 수수백 마리가 한데 엉켜 맴돌이질을 치고 있으므로 소쿠리로 떠올리기만 하면 됐다" 조정래 작가의 대하소설 '太白山脈(태백산백)' 5권 '8월의 들녘'에 나오는 내용의 일부다. 조 작가는 새뱅이를 토하(土蝦)라고 했다.
1607년 중국에서 간행된 왕기(王圻)의 '삼재도회(三才圖會)'를 쇼토쿠(正德)2년(1712년)경 일본의 데라시마 료안(寺島良安)이 편찬한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 '진하(眞鰕)·차하(車鰕)·수장하(手長鰕)·백협하(白挾鰕)·천하(川鰕)·하강하(夏糠鰕)·추강하(秋糠鰕) 등의 여러 이름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수장하(手長鰕)가 바로 민물새우다.
1530년(중종 25) 이행(李荇)윤은보(尹殷輔)홍언필(洪彦弼) 등이 증보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757년(영조 33)에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만든 전국 읍지 '여지도서(輿地圖書)', 1788년(정조12년) 경에 유의양(柳義養)이 왕명을 받아 '춘관지'·'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 등을 바탕으로 예조(禮曹)가 관장하는 모든 예제와 예무를 길례(吉禮) · 가례(嘉禮) · 빈례(賓禮) · 군례(軍禮) · 흉례(凶禮)의 오례로 나누어 총정리해 편찬한 책 '춘관통고(春官通考)' , 조선 정조 때 간행된 '공선정례(貢膳定例)' 등에 따르면 팔도에서 건대하(乾大蝦), 건중하(乾中蝦), 대하(大蝦), 중하(中蝦), 생자하(生紫蝦), 생자하해(生紫蝦해), 쌀새우(白蝦), 자하(紫鰕), 자하해(紫蝦해), 하란(蝦卵), 하막(蝦막) 등을 진상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김영복 |
새뱅이는 새우의 충청도 방언이기도 하지만 새뱅이와 생이는 고어에서 나온 말이다. 순경음 ㅂ은 현대에서는 음가가 ㅇ으로 바뀐 경우가 많다. 새뱅이를 전라도에서는 새비, 영암등지에서는 또랑새우라고도 하고 충청도 지방에서는 새뱅이라고 하는데, 충북 일부지방에서는 사불치라고도 한다.
새뱅이와 생이는 다른 종(種)이다. 속(屬)도 다르고 학명도 다르다. 새뱅이는 네오카르디나속이고 생이는 생이속이다. 학명도 새뱅이는 'Neocaridina denticulata'이고 생이는 'Parata compressa'다. 또 생이는 애새우라고도 하는데, 새뱅이보다 등이 볼록하게 굽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생이는 4cm 전후의 크기로 기본적으로 반투명하지만, 환경에 따라 녹색이나 갈색을 띠기도 한다. 어항의 이끼 청소 능력이 뛰어난 새우로 알려져 있다.
생이는 다음 짓이겨 소금을 치고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을 씌워 지지거나 혹은 고추장을 푼 물에 넣고 고기나 파와 무 등을 넣어 끓여 먹기도 한다.생이는 우리나라 일부지역에 한정해 서식하며, 대부분의 개체들은 새뱅이다. 새뱅이는 벼가 노랗게 익어 갈 때부터 한 달간 잡는데, 벼가 노랗게 익을 때가 맛이 있고, 서리 내리기 잡는 것이 제일 맛이 있다.
새뱅이는 1급수에 사는데, 주로 농로를 따라 흐르는 도랑이나 보 같은 곳의 수초가 많은 데서 얼기미를 가지고 잡는다. 이 새뱅이는 탕(湯)이나 장국에 민물새우가 들어가면 구수한 것이 시원하며 화학조미료 이상의 감칠맛이 나는데, 이렇게 끓인 새뱅이탕은 충청도에서 자주 끓여 먹는다.
강남샤브샤브부대찌개&매운철판북면점 새뱅이탕 |
새뱅이탕을 끓일 때 맛 물을 무우와 새뱅이 등을 넣으면 국물이 아주 구수한 것이 시원하다. 특히 새뱅이탕에 수제비를 떠 넣었는데, 수제비가 제법 쫄깃하니 맛이 있다.
청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북도에서는 새뱅이찌개라고 하는 반면 천안 등 충남지방에서는 주로 새뱅이탕이라고 한다.
강남샤브샤브부대찌개&매운철판북면점 새뱅이탕 |
충북의 새뱅이찌개와 충남의 새뱅이탕이 이러한 차이를 알고 이름 붙여져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새뱅이탕 기본이 2인분이란다. 필자는 2인분을 시켜 반은 먹고 반은 포장해 집에 가지고 와 저녁까지 먹었다. 새뱅이탕의 구수한 냄새가 잔잔한 음악을 부른다.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