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긍정의 상상력으로 읽어야 할 우리의 효문화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긍정의 상상력으로 읽어야 할 우리의 효문화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 승인 2023-09-10 08:55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307220100165180006453133
김덕균 단장
어린 시절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들으며 한창 긴장하며 빠져들곤 했다. 몇 번을 들어도 한 장면 한 장면, 마치 새로운 이야기처럼 들었다. 나무꾼이 감춰뒀던 옷을 찾아 입고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선녀의 모습을 그리며 남은 가족들이 불쌍하다는 생각도 했다. 이후로 산속 작은 연못을 보게 되면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가 절로 그려졌다. 이야기를 접하며 나무꾼이 성폭행범이란 생각도, 선녀가 자기 자식을 버리고 도망간 패륜모란 생각도 전혀 하지 않았다.

한국의 대표적인 효행설화 '심청전'을 접할 때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을 딸에게만 의지하는 눈먼 아버지에게서 잠시 짜증이 났고, 심술궂은 뺑덕어멈의 얌체짓을 바라보며 미운 생각이 들긴 했어도, 감동적인 심청의 효심을 넘지는 못했다. 묵묵히 부친 위해 애쓰는 심청의 아름다운 마음과 행동이 작품 전체를 감싸 안았다. 공양미 삼 백석으로 심청이를 안내한 스님이나 인신을 제물로 바친 뱃사람들의 행동 등이 인신매매범들이나 하는 엽기적 행동이라 상상도 안 했다. 오로지 시종일관 순수한 심청의 효심만을 생각했고, 왕비로 환생한 심청이 안타까이 아비를 찾는 가운데, 어렵게 찾아온 아비가 눈을 떴다는 극적 반전 만이 생각을 지배했다.

옛날이야기 속 내용 자체에서 긍정, 희망, 상상의 나래를 펼칠 뿐, 이를 사회적, 법률적 관점에서 꼬치꼬치 캐물으며 문제 삼지 않았다. 또 그것이 아이들 동심의 세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도 않았고, 오히려 동화적 상상력과 인문학적 선한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선녀와 나무꾼'의 영향으로 성폭력이 난무하고, '심청전' 때문에 인신매매가 성행한다는 것은 애당초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동화나 전통 설화 속 이야기는 당대 문화와 가치로 해석해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합리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면 당연히 엽기적 행위들에 해당한다. 이는 동양만의 문제가 아닌 동서양 모두가 마찬가지다. 과학적, 합리적 관점에서 이솝우화를 대한다면 당연히 아이들에게 이솝우화는 금서가 되어야 한다. 의인화한 동물들을 이해할 땐 무한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상상력은 동심을 일깨우는 교육의 한 방법이다. 설화도 마찬가지다. 당대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화를 대해야 할 이유이다.



효행설화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대개가 고마운 존재로 나온다. 산속에서 3년상을 치르는데 호랑이가 나타나 효자를 보호했다는 이야기나, 병든 부모 위해 꿩과 사슴을 잡아다 주었다는 이야기, 밤길 가는 효자의 길을 안내했다는 이야기 등등. 대전지역 은진송씨 가문의 초창기 인물, 쌍청당 송유가 강보에 싸여 대전으로 내려올 때의 일이다.

이른 나이에 남편을 여읜 유씨가 어린 아들 송유를 데리고 개성에서 시댁 대전으로 내려오는 데에는 주로 밤길을 이용했다. 청상이 된 유 씨 입장에서 이런저런 낮에 부딪힐 수 있는 일들보다는 밤이 낫다고 생각한 것 같다. 밤마다 길을 재촉하는 가운데, 별안간 호랑이가 나타나 길을 안내했다는 이야기다.

상식적으로 호랑이는 호시탐탐 생명체를 노리는 맹수이다. 그런데도 효행설화에 등장한 호랑이는 효자의 효성에 감동한 조력자가 많다. 아마도 한국인의 긍정 심리학에 기인한 설화적 기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차피 호랑이가 잡아먹지 않았다면, 죽은 목숨 살려준 것이나 다름없다. 거기다 주변에 앉아서 바라만 보고 해치지 않았다면, 호랑이는 사람을 보호한 영물이 된다. 3년상을 치르는데 호랑이가 해치지 않고 주변만 어슬렁어슬렁 배회했다면, 효자를 보호한 고마운 존재가 된다.

이렇게 긍정의 상상력으로 해석하고 이해한 우리 전통의 효문화를 삭막한 현대사회의 극단적 범죄심리로 해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동심을 일깨웠던 효행동화 속 전승설화가 범죄심리를 조장한다고 문제 삼는 것은 동심의 세계를 오히려 해치는 일이다. 어려움도 오히려 긍정의 상상력으로 극복했던 선인들의 지혜가 아쉽다. 동화는 동화, 설화는 설화로서 당시 추구하고자 했던 가치를 긍정의 상상력으로 이해할 이유이다.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5.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