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기수 국장 |
문제는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경관적 '가치'라는 것이 때론 모호하고 사람마다 혹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이하다는데 있다. 법은 이 문제를 문화재위원이라는 10명 내외의 현자들이 모인 원탁회의에 맡기고 있다. 역사, 건축, 미술, 민속 등 각 분야의 석학과 전문가들이 어떤 것의 역사성과 예술성, 학술적, 경관적 가치를 판단하여, 그것이 제도적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문화재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당연히 이 과정에는 일정한 인정투쟁이 개입되고, 그 결과가 모두의 공감과 지지를 얻는 것은 아니다. 법은 문화유산이라 명명하지만, 어떤 이들은 '적산(敵産)'이라고 부르며 철거를 주장하는 식민지시대 이 땅에 지어졌던 무수한 건축물들이 그 예이다.
법으로 정하는 대상이 이렇게 명료하지 않아도 되나 의구심이 들 수 있지만, 그런 이유로 이 과정은 그 자체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무엇이 문화유산이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그 행위가 바로 현재 우리 사회가 도달한 지성과 철학의 깊이를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되기 때문이다. 문화유산을 지정하는 행위 자체가 우리 공동체의 축적된 지식과 시대적 지향, 미학이 무엇인지를 재확인하거나 한 단계를 갱신하는 일인 것이다.
지금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등록문화재 '대전역 철도보급창고'의 이전은 다시금 '문화유산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가?'하는 오래된, 하지만 전혀 새로운 류의 질문을 제기한다. 현장보존은 이 분야의 불문율과 같다. 하지만 대전시는 그것을 깨고 이전보존을 선택했다. 오랜 세월 철도보급창고는 주차장으로 변한 대전역 동광장에 섬처럼 남겨져 있었다. 장소성은 보존하고 있었지만, 경관은 깨졌고 그것이 놓여져 있던 공간적 맥락 또한 지워졌다.
긴 고민과 논의 끝에 9월 말, 철도보급창고는 현재의 자리에서 약 600m를 이동, 신안2역사공원으로 옮겨진다. 부작용이 큰 해체복원 대신 6대의 모듈트레일러를 연결, 그 위에 실어 그대로 옮기는 이축 방식을 택했다.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시도된 적이 없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기술의 진보가 문화유산의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해 지금보다 개선된 경관과 보존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대전시는 장소성의 고수 대신 그것을 선택했다.
대전시의 이러한 결정이 훗날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이라는 책을 통해 작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대에 예술작품란 무엇인지를 물었다. 시대가 바뀌었다. 지평이 바뀌었는데, 이전에 물어왔던 동일한 질문으로는 답을 찾을 수 없다. 대전시가 찾은 답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여러 관점에서 회자되고 또 연구될 것이다. 하지만 그와 별로 우리는 이 대담한 프로젝트가 지금 동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이 하나의 질문을 환기시켜주었으면 좋겠다. "다시, 우리에게 문화유산이란 무엇인가?"
/노기수 대전시 문화관광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