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의회 본회의장 전경. [출처=대전시의회] |
앞선 272회 임시회를 여야 파행 사태로 반쪽 운영하며 그동안 쌓은 신뢰도에 금이 간 만큼 하반기 주요 현안 점검 등 의회 본연의 기능에 더욱 충실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시의회는 6일부터 18일까지 273회 임시회를 운영한다. 9월 임시회는 의정활동의 꽃이라 불리는 행정사무감사 계획서를 채택하고 하반기 주요 현안을 실질적으로 점검하는 회기로서 중요성이 크다. 특히 7월 임시회에서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여야 파행 사태를 겪으면서 지탄을 받았던 터라 이번 임시회를 바라보는 의회 안팎의 시선 또한 무겁다.
상임위원회별로 처리할 안건도 대부분 굵직한 현안들이다. 우선 서남부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을 다룬다. 해당 사업은 최근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재검토를 받았다. 행정절차 지연으로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전 완공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성공적인 개최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때문에 추후대책을 짚고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단 주문이 많다.
옛 대전부청사 보존·활용사업도 안건에 올라와 있다. 대전시는 보존과 활용 차원에서 옛 부청사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곳을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으로, 일부 공간은 대전역사관과 부청사기록관을 조성한다. 최대한 건물 '원형'을 유지해 옛 모습을 완벽히 재현하는 게 기본 원칙이다. 총사업비는 시비 440억 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의회 차원의 면밀한 검토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대전 출신 도예가인 이종수 선생을 기리는 미술관 건립과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 등을 위한 2024년도 공유재산 관리계획 동의안을 다루며 올여름 집중호우로 인한 사망자와 유가족들을 위한 지원조례도 심의한다. 범정부 차원에서 호우 피해 사망자와 유가족에 대해 지방세 감면을 통일적으로 적용해 주민세와 자동차세, 지역자원시설세, 취득세 면제가 이뤄진다.
![]() |
대전시의회 본회의장 전경. [출처=대전시의회] |
의회 운영과 관련해선 대전시의회 인사청문회 조례가 눈에 띈다. 청문 대상 확대와 위원회 인원을 늘리는 게 골자다. 기존 공사·공단 사장·이사장에 더해 출자·출연 기관장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우선 출자·출연 기관 중 정원 100명 이상 또는 예산 500억 원 이상 규모에 상당하는 대전테크노파크와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신용보증재단을 인사청문 대상으로 포함했다.
대전시의회 관계자는 "9월 임시회에선 10월 행정사무감사에 앞서 현안들을 점검하고 사무감사 계획서 채택 등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며 "비회기 기간 의원별로 정책간담회를 이어왔던 만큼 이번 회기에서 책임 있는 의정활동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