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자치구의회 의장협의회와, 대전환경노동조합연대가 30일 대전시의회 1층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관리요원의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심효준 기자) |
폭 20m이상 큰 규모의 도로 관리를 어느 기관이 맡아야 하는지가 핵심인데, 대전시는 개선 필요성에는 일부 공감하나 요구를 모두 수용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대전시 자치구의회 의장협의회(회장 윤양수 중구의회 의장)와 대전시 환경노동조합연대는 30일 대전시의회 1층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대전에서 청소하던 50대 환경미화원이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비극이 벌어졌음에도 대전시가 맡아야 할 도로의 청소를 일방적으로 자치구에 일임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대전환경노조연대에 따르면 대전의 고가도로와 지하차도 등에서 청소 업무 중 안전과 인명사고는 2020년 1월 1명 사망, 2021년 6월 6개월 이상 장기치료가 필요한 중상자 1명, 2022년 12월 1명 사망 등 매년 발생하고 있다.
개선을 위해 대전환경노조연대가 도로 중 위험 구간은 시가 직접 인력과 안전 장비를 확충해 청소와 도로 유지·관리할 것을 건의했지만, 대전시 관할부서는 여전히 관리주체를 자치구에 미루며 무책임한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의장협의회와 노조연대는 세 가지를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우선 대전시가 관리도로의 유지·관리 업무 주체에 대한 문제점을 긴급히 파악하고 자치구로 청소업무를 떠넘기는 잘못된 관행 바로잡을 것과 도로관리청으로서 소관 도로의 유지·관리 업무를 일임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인력과 장비를 확보해 기관 고유의 업무를 수행할 것을 제시했다. 환경관리 요원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행정의 제 역할을 다하고 이들의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는 내용도 있다.
대전시는 요구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단 입장이지만, 모두 받아들이기엔 역부족이라고 했다. 고가도로와 같이 차들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를 인력만으로 청소하기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업무를 모두 시로 이관하면 구청에 배치된 예산을 두고 중첩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도 있다. 다만 위험한 근무환경은 개선이 시급한 문제인 만큼 자치구와 최대한 협조하겠단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올해 초 각 자치구에 위험 도로에 대한 인력 투입을 자제하라는 요청을 했다"며 "위험물이나 로드킬로 발생한 사체 등은 시급한 문제는 대전시가 치우고 자치구와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