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가난은 임금님도 해결할 수 없다'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가난이란 자신의 능력과 노력의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말입니다. 물론 당연히 그럴 수도 있겠지만 오늘날의 가난은 그러한 개인적인 요인 말고도 외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누구의 자식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아니면 어떤 나라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세습적으로 가난을 짊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현대사회에서의 가난은 국가와 사회가 책임을 공유해야 할 공공의 문제입니다.
가난 때문에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는 사람들 속에서 평생을 같이 아파했던 사람이 있습니다. 그분은 마더 테레사 수녀님이지요. 2007년 9월 3일자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테레사 수녀가 봉사활동을 시작한 1948년부터 1997년 사망할 때까지 신의 존재를 느끼지 못했다"라며 "그는 자신이 겪은 내적 고통을 지옥에 비교했고, 한때는 천국과 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회의까지도 드러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살아있는 성인'으로 추앙받아 온 마더 테레사 수녀님의 말이기에 그 파장이 컸습니다.
당시 저도 충격을 받아, 마더 테레사의 저서 '나의 빛이 되어라'를 읽어보았습니다. 그 책을 읽고 마더 테레사가 '천국을 부인'했다는 기사의 '이면'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마더 테레사 수녀님은 인간 사회에서 짓밟히고 내버려진 사람들과 함께 혹독한 시련을 경험하면서 역설적으로 "자신 안에 하나님이 계시지 않고", "천국이 아무 의미가 없다"라는 독백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 말은 하나님을 거부하거나 천국을 부정한 말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절박한 토로라고 봐야 하겠지요. 아무도 원하지 않고, 사랑하지도 않고, 돌보지 않으니, 아무것도 없는 빈민들의 상태가 얼마나 참혹하고 아프게 다가왔으면 자신 안에 하나님은 없다는 반어법을 썼을까요?
이와 비슷한 상황은 우리나라 국민 배우로 알려진 김혜자 씨에 의해서도 제기되었습니다. 김혜자 씨는 에티오피아를 시작으로 소말리아, 보스니아, 인도, 케냐, 우간다, 북한, 시에라리온, 아프가니스탄 등을 찾아다니며 가난 속에 고통받는 아이들을 돕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그분은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페인 교육자 프란시스코 펠레의 말을 인용한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책을 썼습니다. 김혜자 씨도 자신의 저서에서 "에티오피아의 참혹한 가난을 보면서 얼마나 많이 신을 원망했는지 모른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난은 죄가 아닙니다. 물론 가난은 개인의 무능에서 기인할 수도 있겠지만, 위에서도 얘기한 여러 요인 때문에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공직을 하면서 줄곧 견지해 온 말이 있습니다. 그것은 '부모의 사회적 지위에 의해 한 아이의 평생 삶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신은 가난한 사람을 더 사랑하십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