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봉 관장 |
늦여름 더위가 물러가면 곧바로 가을이 온다. 그렇다. 지금도 가을이 성큼성큼 걸어오고 있다. 하지만 낮에는 혹서(酷暑)가 계속되고 있어 사람들을 겁나게 한다. 이상 기온이니, 기후 위기니 하는 말들이 실감 나기 때문이다. 이런 말들, 이상 기온이니, 기후 위기니 하는 말들이 인간에 의해 저질러진 환경오염과 결과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환경오염은 흔히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으로 나누어진다. 물론 이들 환경오염이 모두 다 산업화의 산물, 근대화의 산물이라고 해야 옳다. 산업화, 근대화 이전에는 어디에도 없었던 것이 환경오염이다. 불과 얼마 전의 일이다. 국내외적 요인에 의한 미세 먼지 문제, 곧 대기오염 문제로 온 나라가 떠들썩한 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더 많은 사람이 일본의 핵폐수 방류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 오염된 바닷물로 인해 건강에 어떤 이상이 올는지 모르니 사람들이 심각하게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과 같은 산업 문명 속에서 살아가게 되면 환경생태문제가 그치지 않을 것은 자명하다. 환경생태문제라는 것이 본래 산업 문명으로 상징되는 자본주의 시대의 산물, 근대라는 시대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근대라는 이 시대에는 사람들의 삶이 수많은 건물과 빌딩으로 이루어진 도시를 중심으로 영위될 수밖에 없다. 도시를 중심으로 영위되는 산업 문명의 삶에게는 처서, 입추, 백로 등의 이십사절기가 의미를 갖기 어렵다. 이들 이십사절기가 자신들의 삶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이들 이십사절기는 근대 이전의 것, 곧 농경사회의 것일 따름이다.
근대 이전의 것, 곧 농경사회의 것일 따름이라는 말에는 그것들이 근대로 넘어오면서, 곧 자본주의 산업 문명 시대로 넘어오면서 다 버리고 온 것이라는 뜻이 들어 있다. 하지만 지금 그것들을 정말 다 버려도 되는가. 나는 사람들이 자연을, 대지를 버리지 못한다면 이것들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뜻 있는 사상가들이 거듭 '탈근대' 혹은 '근대 이후'를 말하고 있다. 혹자는 '근대 극복'이라는 용어를 통해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 어떻게 자본주의 다음 세계로 좋게, 따듯하게, 바람직하게 넘어갈 것인가. 이것이 그들이 저 자신을 괴롭히며 되묻고 있는 주제이다. 백낙청 선생도 그런 분 중의 하나이다. 그는 제대로 근대에 적응하며 바르게 근대를 극복해야 하는 이중과제가 오늘의 사람들에게 주어진 핵심문제라고 강조한다.
근대를 극복한 사회, 탈근대의 사회, 근대 이후의 사회……. 어떤 말로 표현하더라도 이들 용어에는 더 좋은 세상, 더 나은 세상에의 꿈이 들어 있다. 더 좋은 세상, 더 나은 세상은 구체적으로 어떤 곳일까. 지금과 같은 교통지옥이 횡행하는 도시 중심의 사회는 아닐 듯싶다. 정신없이 바쁘고 분주한 속도 중심의 도시 사회도 아닐 듯하다. 도처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사회, 끊임없이 경쟁이 부추겨지는 사회, 사람이 아스팔트 조각처럼 팽개쳐지는 사회도 아닐 것 같다.
그래서일까. 도시 중심의 삶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나는 그곳에 자연이 십분 살아 있기를 바란다. 잎사귀 넓은 나무들과 함께할 수 있는 숲이 있고, 미역을 감으며 놀 수 있는 냇물이 있고, 투망을 던져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강물이 있는 도시 말이다. 무더운 여름날 숲 그늘에 누워 낮잠 한 번 때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지금 사람들은 자연을 잃어버린 채, 대지를 잃어버린 채 허겁지겁 살고 있다. 그러니 꽃이 피는 줄도 알지 못하고, 열매가 맺히는 줄도 알지 못한다. 자연을 잃어버린 사람들, 대지를 잃어버린 사람들……, 이들에게도 미래가 있을까.
/이은봉 시인·대전문학관 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