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수박 만세!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수박 만세!

  • 승인 2023-08-23 10:24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30823_095951543
여름은 과일의 천국이다. 복숭아, 참외, 자두, 멜론, 수박, 포도. 여기에 수입산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도 빠질 수 없다. 더위에 지쳐 입맛이 없을 때 과일은 식욕을 돋우고 몸에 생기를 준다. 새콤달콤한 자두와 꿀같은 멜론, 달콤한 향이 일품인 황도와 물이 많은 수박(영어로 워터멜론이다)은 여름의 맛이다. 그 중 EBS '세계테마기행'에서 본 수박은 도대체 얼마나 맛있을까 궁금해 죽는 줄 알았다. 여성 출연자가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여행 중 길가에서 파는 수박을 먹으면서 감탄사를 연발했다. "한국의 수박도 맛있는데 당도가 훨씬 높아요. 기가 막힙니다." 저걸 먹어볼 수만 있다면. 고온건조한 중앙아시아에서 나오는 청포도, 수박 등 과일은 맛있기로 유명하다.

수박이 없는 여름은 내겐 의미가 없다. 과일은 가리지 않고 다 좋아하지만 수박은 내가 최고로 애정하는 과일이다. 일과 더위에 지쳐 혀를 빼물고 터덜터덜 퇴근하는 한여름, 저녁밥을 먹고 난 후의 후식은 필수다. 찬물로 샤워하고 먹는 달콤 아삭한 수박 한 대접. 밥수저로 수박 한 덩이를 입에 넣고 씹으면 입 안에 가득한 시원하고 달디 단 물은 무더위를 싹 가셔준다. 이 기분을 어떻게 표현할까. 술을 좋아하는 후배는 샤워후의 캔 맥주 맛이 그렇다고 했다. 혀를 얼얼하게 하는 시원하고 톡 쏘는 맛이라나? 요즘 나를 심쿵하게 하는 배우가 있다. 선과 악이 공존하는 눈빛을 가진 손석구다. 가수는 노래를 잘 불러야 하고 기자는 기사를 잘 써야 하듯 배우는 연기를 잘하는 것이 최고다. '범죄도시2'의 강해상 역할을 손석구 말고 누가 할 수 있을까. 손석구의 맥주 광고를 볼 때마다 후배 생각이 난다.

올 여름은 수박이 금값이다. 마트에 가면 입이 떡 벌어진다. 수박 한 통에 3만원 한다. 지난 주 아침 뉴스에선 5만원까지 올랐다며 카페에 수박주스가 자취를 감췄단다. 한달 전보다 무려 80% 오른 것이다. 몇 년 전만 해도 부담없이 먹었는데 지금은 엄두도 못낸다. 월급쟁이 서민의 지갑은 금수박을 사기엔 너무 얄팍하다. 다행히 동네 마트에선 종종 반으로 자른 수박을 판다. 사실 이것도 만만찮다. 올 여름은 한 대여섯 번 사 먹었나? 얼마 전엔 트럭에서 파는 수박을 한 통 샀는데 맹탕이었다. 욕을 바가지로 하면서 그래도 다 먹어치웠다. 어느날 회사 아래 마트에 가보니 5㎏에 1만2천원 하길래 얼른 샀다. 단지 꼭지가 없어 좀 싸게 판다고 했다. 음, 일단 색도 진하고 묵직했다. 무엇보다 어느 지역에서 생산했다는 상표가 붙어 있었다. 아쉽게도 아이스크림처럼 살살 녹는 수박은 아니었다. 이게 다 그놈의 이상기후 때문이다.

올 여름은 극단적 이상기후로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이제 기후위기는 인류 전체가 직면했다. 지금 같으면 한겨울인 남반구가 20도가 넘는 이상고온을 보이고 북유럽은 난데없이 홍수를 겪었다. 알프스는 눈이 녹아내려 맨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하와이 마우이섬의 산불도 마찬가지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한 달 전 집중폭우는 어마무시했다. 이상기후는 가장 먼저 먹거리에 영향을 준다. 가뭄, 폭염, 홍수, 태풍이 널뛰기를 하기 때문에 농산물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번엔 유독 충청권의 피해가 심각했다. 청양, 부여 들녘의 비닐하우스가 홍수로 물에 잠겨 썩어문드러진 수박, 멜론을 보는 우리도 안타까운데 농민의 마음은 오죽했을까. 잘 익은 수박은 자를 때 안다. 칼을 대자마자 '쩍' 하는 소리와 함께 쪼개진다. 진초록의 껍질 속에 빨간 속살의 대비. 아, 정말이지 뿌리치기 힘든 유혹이다. 프리다 칼로의 마지막 그림 소재는 수박이다. 제목은 '비바 라 비다'. '인생이여, 만세'란 뜻이다. 이 화가도 수박을 꽤나 좋아한 걸까? 수박 만세!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