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곤 지도위원 |
기부를 말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 빌 게이츠와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를 빼놓을 수 없다. 또 워런버핏, 안젤리나졸리 등 분야별 불문하고 세계적 유명인들이 거론된다. 우리나라에도 셀 수없이 많지만, 범위를 좁혀 대전, 그것도 대전의 문화예술 분야에 기부문화를 꽃피운 인물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대전의 기부문화는 1980년대부터 시작됐다. 그 중심에 연정 임윤수 선생과 평송 이남용 선생, 정심화 여사, 그리고 도심 속 시민들의 쉼과 문화공간을 만들어낸 고(故) 유림(裕林) 이인구 계룡건설 명예회장 등이 있다.
연정 임윤수 선생은 "국악은 꾸준히 지키고 가꾸지 않으면 안 되는 우리 고유한 전통음악이요. 나아가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하고 그 정체성의 근본이 되게 하는 무형의 문화유산"이라는 신념으로 60평생 전국을 돌아다니며 모은 국악 고서적과 기록물, 고악보, 고악기, 고음반 2만여 점을 대전시에 기증했고, 이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설립의 근간이 되었다. 선생의 고집스러운 국악사랑 운동은 당시 문화 낙후지였던 대전에 '국악의 도시'라는 별칭을 탄생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평송 이남용 선생은 지역 청소년들에게 집중했다. 건강한 심신으로 미래를 이끌어갈 주역으로 성장할 공간 조성을 결심했다. 충남 슈퍼체인 주식회사 등 유통업으로 모은 30억 원을 대전시에 기부했고, 1997년 6월 21일 대전평송청소년문화센터가 문을 열었다.
충남대학교 정문을 들어서자마자 오른쪽에 위치한 '정심화국제문화회관'은 이복순 여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정심화'라는 그의 법명을 그대로 새겨넣은 복합문화공간이다. '정심화 할머니'는 한평생 김밥을 팔아 모은 돈 50억 원을 학교발전을 위해 써달라며 1990년 충남대에 기증했고, 2000년에 국제문화회관이 완공됐다. 백마홀과 대덕홀을 중심으로 각종 공연행사는 물론 학술발표와 세미나 등 대전시민들의 소중한 문화향유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마지막으로 '유림공원(裕林公園)'은 계룡건설 창업주인 유림 이인구 회장의 기부정신으로 탄생한 힐링 명소다. 그는 생전에 "40년 전 지역 꼴찌 기업을 1조 원이 넘는 대표 향토기업으로 키워준 고향 사람들에게 보답하고 싶은 마음에 시작하게 됐다"며 유림공원 조성 계기를 밝혔다.
유림공원은 이인구 명예회장의 희수(喜壽, 77세) 기념 사회환원사업의 일환으로 100억 원을 투입해 2년 간 공사 기간을 거친 후 2009년 6월 28일 개장했다. 대전시는 그의 아호인 '유림'을 따서 공원 이름을 '유림공원'이라 했다.
이인구 회장은 당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기부하면서 사는 낙(?)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좋습니다. 기부로 얻는 것이 더 많으니 오히려 마음의 빚을 지고 사는 게 아닌가 싶다"며 기부의 깊은 의미를 밝힌 바 있다. 그렇게 탄생한 유림공원은 대전 시민들의 쉼터이자 전시 및 문화예술 공연을 향유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지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전의 국악발전과 시민들을 위한 국악 강습. 공연을 통한 전통음악 전승 기관인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청소년들의 성장프로그램을 활용한 문화의 요람 평송청소년문화센터, 그리고 대전의 문화예술과 학술적 발전을 위한 정심화국제문화센터, 시민들의 여가와 휴식 공간으로 자리매김한 유림공원까지. 이들이 실천한 '기부'는 물질과 이기주의가 만연한 지금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신문화의 요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김병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