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오펜하이머'에 담긴 메시지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오펜하이머'에 담긴 메시지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 승인 2023-08-21 10:26
  • 신문게재 2023-08-22 18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이성만 교수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광복절에 맞춰 개봉한 영화가 '오펜하이머'다. 이론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시점에서 최초의 원폭을 개발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그린 영화다. 그러니 원폭 영화일까? 아니다. 원폭 투하의 후광으로 우리가 광복을 맞이한 긍정적 측면 외에 민간인 살상 등의 부정적 측면도 기억하고 사유케 한다. 오펜하이머가 자신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인용한 '바가바드 기타'의 한 구절이 이를 대변한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1942년 오펜하이머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과학 책임자가 된다. 뉴멕시코의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가 프로젝트의 주 거점이다. 최초의 원폭을 개발하는 동안 수백 명의 과학자들은 문명을 등진 이곳 사막이란 시공간에서 '결박된 프로메테우스'가 된다. 지금은 그게 목표였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과학자들이 비밀스럽고 평화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 말이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고립의 또 다른 목표는 도덕적 우려를 없애는 것일 수도 있다.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말 그대로 거품 속에 수년 동안 머물다 보면 한 가지에만 너무 집중하여 주변의 모든 것이 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원폭은 독창적인 정신의 산물이니 자랑스러운 것이 된다. 과학적 프로젝트 그 이상은 아닌 것이 된다. 그러면 책임 있는 과학자들은 책임에서 자유로워지고 도덕적 양심의 가책도 없어지는 것일까?

1945년 7월 16일, 오펜하이머는 앨러모고도 근처에서 실시한 '트리니티 실험'의 성공을 지켜본 후, 자신의 과학적 연구 결과에 깊은 감동과 동시에 큰 충격을 받는다. 모순과 도덕적 딜레마에 빠진 것이다. 그래서일까, 전쟁 후 더 이상의 폭탄 개발에 반대하고 무기 정책에 대한 가장 혹독한 비평가 중 한 사람이 된다. 이 영화의 구조는 이를 관객인 우리에게 반복적으로 지적한다. 오펜하이머는 뛰어난 과학자였지만, 냉소주의자, 좌파 사상가, 그리고 이상을 가진 사람이기도 하였다고. 물론 놀란 감독은 영화에서 오펜하이머와 원폭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시간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제시하려 한다. 그는 이전에 했던 진술들을 반박하거나 변화된, 새로운 빛으로 나타나게 한다. 오펜하이머는 자신의 도덕적 고민을 트루먼 대통령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트루먼은 지친 미소와 오펜하이머가 흘릴 눈물을 닦아줄 손수건만 건넨다. 그리고 오펜하이머에게 뛰어난 과학자가 스스로 알아야 할 진실을 알려준다. 아무도 누가 폭탄을 만들었는지 묻지는 않겠지만, 누가 폭탄을 떨어뜨렸는지는 모두가 묻는다고 말이다.

이 영화는 볼거리 외에도 특히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정치적 성향에 주목한다. 전쟁 중의 미국을 넘어 공산주의를 두려워하는 미국의 모습에 천착한다.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미국이지만, 지배적인 것에 반대하는 사람은 누구나 반역자로 간주한다. 주인공도 냉전 기간 동안 FBI와 조지프 매카시가 이끄는 반(反)공산주의자의 표적이 된다. 오펜하이머는 미국 상원 원자력에너지 위원회에 소환된다. 실제의 오펜하이머가 1954년에 그러했듯이. 영화는 이를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과 함께 미국 사회에 드리운 반공주의적 '적색공포'와 '매카시즘'에 접목시킨다. 음모론, 애국심, 선전, 협박 등으로 뒤엉킨 미국이 실제로 싸운 이념은 공산주의였다. '오펜하이머'는 이 모든 문제들을 외연적으로는 원폭 발명자의 전기 영화로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감독이 정녕 파고든 것은 원폭의 개발 과정을 넘어 미국이 그 핵폭탄을 다루는 방식과 당시의 사회·정치적 흐름을 훌륭하게 반영하고 해체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오펜하이머는 1963년 매카시, 스트로스, 아이젠하워 대통령 치하에서 겪은 차별을 바로잡기 위해 원자력 프로그램의 이론 물리학에 기여한 공로로 엔리코 페르미 상을 받았다. 이 시기에 그는 도덕, 과학, 정치 사이의 갈등을 상징하는 인물이었다.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대전 학교 내 성비위 난무하는데… 교사 성 관련 연수는 연 1회 그쳐
  1.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2.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3.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4. [사설] '대한민국 문화도시' 날개 달았다
  5. [사설] 교육 현장 '석면 제로화' 차질 없어야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