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단원들이 연습했던 실제 장소(빨간색 부분). KBS 청주방송국은 50년 전인 1972년 7월 31일 항공기로 수해 현장인 제천시 청풍지역을 샅샅이 훑다시피 전방위적으로 촬영했다. KBS 수해 영상 속에는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도 함께 촬영됐다. <영상자료 제공=KBS청주방송국> |
전설 속 제천 국악단체를 추적 중인 본보 취재팀은 지난 14일 KBS 청주방송국 자료 협조를 요청했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물속에 잠기기 이전의 제천시 '청풍지역 영상 원본'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KBS 문을 두드렸는데, 다행히 역사 속 한 장면이 그 모습, 그대로 촬영됐다. KBS 청주방송국 아카이브(archive)검색결과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물속에 잠기기 이전 모습이 KBS 항공촬영에 의해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특히 KBS 영상에는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도 함께 촬영됐다. KBS 항공촬영에 연습장소가 그대로 찍힌 것이다. KBS 관계자와 함께 항공촬영을 검색한 지 약 5시간만이다.
'1918년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단원들이 연습했던 실제 장소(빨간색 부분)'…연습 장소는 제천시 청풍면 읍하리다.사진 중간 부분에 '팔영루(지서 옆에 위치·조선시대 건축물, 충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가 보인다.이장용 선생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 팔영루 옆에 살았는데, 팔영루와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를 지나서 등·하교 했다고 한다. 이 사진은 2022년 1월 21일 '청풍부읍지사료집성' 기록을 카메라로 촬영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KBS 영상에 따르면 팔영루에서 내려다 본 마을의 지붕자재는 초가와 기와, 스레트 등으로 구성됐다. 초가집 세대에서 스레트 등의 세대로 옮겨가는 시점으로 보여진다. 영상 속 담벼락은 돌담으로 쌓아졌다. 마을, 중심부 도로는 흙길이다. 도로에는 자전거를 타고 가는 주민들과 또다른 마을 주민들이 어느 집, 대문 앞에서 옹기종기 모여 있다.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로 보여지는 스레트 집(KBS 영상 속 오른쪽 2번째 집)의 재질과 형태는 '청풍부읍지사료집성' 책자에 실린 스틸사진(1980~90년대 추정)과 일치했다. 따라서 연습장소는 수몰 직전까지 같은 형태의 모습으로 물속에 잠긴 것으로 추정된다. 영상 속 오른쪽 첫 번째 집은 초가집으로 돼 있는데, 청풍부읍지사료집성 책자에 실린 스틸사진 스레트 집보다 더 오래됐음을 엿볼 수 있다.
'이장용 선생(90·제천시·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이 기억으로 직접 그린 속수승평계(1918년) 연습장소(빨간색 부분)'. 그가 그린 연습장소 손그림은 이건영 속수승평계 서열 3위의 간부급 단원 집으로 추정된다. 이건영의 4대 후손은 "증조할아버지 집에 가야금 등이 있었고 사람들이 수시로 와, 연습했다"고 첫 증언했다. 손그림은 2022년 1월 12일 이장용 선생 자택에서 촬영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장은 "속수승평계 국악단체 연습장소가 촬영된 KBS 흑백 영상을 주목하고 있다"며 "그동안 이장용 어르신의 손그림과 사진 등 평면적인 연습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번 KBS영상이 확보되면서 입체적인 상황, 그리고 3차원 영상까지 구연할 수 있게 돼 학술자료로 큰 가치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KBS 청주방송국 관계자는 "청풍승평계와 속수승평계는 제천, 충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역사"라며 "역사 속 제천 국악단체를 찾는데, KBS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