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석 본부장 |
대청호에서 매년 반복되는 녹조 발생 원인이 대청호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유역면적이 3204㎢로 정체 수역이 많고 체류시간이 약 220일로 인공 담수호의 전형적인 문제와 집중 호우 시 유역 내 임야와 농경지에서 영양염류의 유출과 다양한 생활 쓰레기 오염물질 등의 유입으로 부영양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대청호는 1980년대 후반부터 녹조가 발생했고 1996년부터 조류경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1000 이상일 때 ‘관심’, 10000 이상 ‘경계’, 1000000 이상 ‘조류 대발생’ 기준으로 발령된다.
금강유역환경청에서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전파해 조류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작년에는 대청호 권역에 9월부터 10월 중 22일간 조류주의보가 발령됐다. 녹조는 상류 소옥천에서 회남, 추동, 문의까지 확산돼 정수장의 정수처리공정 장애는 물론 수돗물에서 곰팡이와 흙냄새 피해를 유발한다. 이에 상수도본부는 건강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녹조 대응 3단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는 사전 대응으로 1992년부터 추동 취수탑에 수중 폭기시설 42기를 설치해 5월부터 11월까지 가동함으로써 심층수와 표층수를 순환시켜 성층 파괴와 무산소층 해소로 영양염류(N, P)의 용출을 방지하고 부영양화를 억제해 조류증식에 대한 예방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 인공식물섬 15,700㎡와 습지 10,300㎡를 집중 운영해 식물성플랑크톤증식 억제로 추동수역의 수질을 개선하고 있다. 2022년 대청호 인공습지의 수질개선 효과분석 연구에 따르면 유입되는 비점 오염(평균제거효율 : T-N 57.8%, T-P 34.8%)은 정화가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전략으로 회남 수역에 조류가 발생하면 2014년 설치한 길이 280m, 깊이 6m 조류차단막을 운영해 추동수역으로 조류 유입 차단과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조류 발생에 따라 조류 영향이 적은 수심 10m 이하의 심층수를 취수하고 조류 발생이 심화되면 K-water와 공동 대응해 천연 조류제거제로 조류증식을 억제한다. 정수장에서는 활성탄을 투입해 냄새 물질인 지오스민(흙냄새)과 2-MIB(곰팡이냄새)를 제거해 시민들이 음용 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있다.
3단계는 중·장기 대응 전략으로 인공식물섬, 수중폭기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개량사업과 고도정수처리시설 확충을 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14억원 투입해 인공식물섬을 연차적으로 6500㎡를 개량했다. 다음으로 조류에 의한 수돗물 냄새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고도정수처리시설(90만톤/일) 2011년부터 2028년까지 연차적으로 확충해 시민에게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예정이다.
올해는 조류 발생이 전년에 비해 20일 정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상수도본부는 녹조대응 3단계 전략 추진으로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하고 안전한 고품질 수돗물 생산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최진석 대전 상수도사업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