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당시 대전엑스포의 주제는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었으며 부제로 '전통 기술과 현대과학의 조화'였습니다. 따라서 과학과 기술을 주제로 하며 모든 산업을 포괄하였다는 점에서 전문엑스포 이상의 범위였습니다. 1993년 8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93일간 개최된 대전엑스포는 108개국과 33개 국제기구가 참여하고 1450만 명이 관람하였지요. 당시 대전엑스포 프레스센터에서는 역대 전문엑스포 중 가장 큰 규모이자 '훌륭한' 엑스포라고 연일 타전했습니다.
당시 보도들을 종합하면 '대전엑스포의 성공은 한국의 국제화, 개방화, 과학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시켰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성취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하였고 국제 사회에 대한민국의 역량을 과시하였다'고 평가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성과를 대전에 국한시켜 살펴보면, 첫째 대전의 도시 위상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점입니다. 개도국에서 처음 열린 엑스포로 100개국 이상이 참여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대전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88 올림픽 다음으로 규모가 큰 국제행사를 치름으로써 국내적으로도 대전의 도시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둘째로 대전의 도시 인프라를 확충시켜 대전의 발전을 10년 이상 앞당겼다는 것이 당시 내외의 평가였습니다. 당시 대전엑스포 예산은 1조 8000억이었는데 운영경비 5000억 원을 제외하고 1조 3000억 원이 대전의 도시 인프라 개선에 투입되었습니다. 한밭대로, 갑천 우안 도로, 대덕대로 등의 신설과 3대 하천의 정화, 나무 식재 등 환경 개선 등이 그것입니다.
셋째로 대전시민의 자부심과 시민의식을 향상시켰습니다. 많은 시민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하였고 국내외 언론을 통하여 대전이 홍보됨으로써 시민들에게는 엑스포 개최지의 시민으로서 자부심을 갖게 하였으며 국제 대회 개최를 계기로 각종 문화·예술 이벤트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등 시민의식의 향상을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엑스포 개최도시는 엑스포가 끝나자 엑스포장을 폐쇄하였으나 대전은 엑스포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엑스포장을 그대로 존치하면서 '과학공원'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그동안 사후 활용방안에 대한 몇 차례 변경은 있었으나 한빛탑 등 대전엑스포의 상징물을 존치하면서 과학과 관련된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유치하였고, 문광부의 국책사업인 '드라마 큐브'도 유치하였습니다. 그리고 공익시설인 e-스포츠 경기장, 시청자미디어센터 등이 들어왔지요. 이 밖에도 대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신세계 백화점, 호텔 오노마 등 민간투자를 유치하여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대전엑스포장의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하였습니다.
1993년 8월 7일 오전, 저는 대전시장으로서 108개국 대표를 비롯한 세계인들에게 "엑스포가 이곳 대전에서 열리는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대전은 역사적으로 학문의 중심지였고 지금도 우리나라 대다수의 과학기술 관련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입주하여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고 힘주어 강조하였습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