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박물관은 올해 '박물관 속 작은 전시'로 소장 중인 '비녀'를 선정해 전시한다. '박물관 속 작은 전시'는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 내부에 있는 전시다. 주요 기념일, 행사와 관련된 유물 혹은 새롭게 기증·기탁받은 신 수유물을 소개한다.
옛 여인을 그린 그림이나 사극을 보면 곱게 넘긴 쪽머리에 꽂혀 있는 비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머리에 꽂은 비녀는 혼인한 여성을 상징하기도 했고, 장식과 재질을 달리하여 아름다움과 개성을 보여주고 신분을 나타내기도 한 장신구였다.
비녀는 선사시대 이후로 계속 사용됐는데, 우리가 흔히 아는 비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시기는 조선 후기부터이다. 영, 정조 시대 여성의 머리에 얹는 가발의 종류인 가체가 사치를 유발한다는 이유로 금지돼 대신 보편화된 쪽진머리를 비녀로 머리를 꾸미기 시작한 것이 화려한 장식,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비녀는 머리인 잠두(簪頭)의 모양에 따라 용잠(龍簪)·봉잠(鳳簪)·원앙잠(鴛鴦簪)·매죽잠(梅竹簪) 등 수많은 종류가 있다.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용이나 봉황을 비롯해 부귀, 장수, 출산 등 일상생활에서 복을 상징하는 동·식물의 모양이 주로 장식됐다. 상류층은 금·은·옥 등 귀중한 재료로 만든 비녀를 사용하고 서민층은 목·각·뼈 등으로 만든 비녀를 꽂았다.
대전시립박물관에서 전시하는 비녀는 대전에 세거한 명문가인 은진송씨 집안에서 사용된 '은제 칠보 쌍조 매죽잠', '은제 용잠', '백옥 영락잠' 등이다.
은제 칠보 쌍조 매죽잠 |
은제 용잠 |
백옥 영락잠 |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최근 비녀가 대중매체에 많이 등장하면서 우리나라의 전통 비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의 전통 비녀를 실제로 보고 역사와 담긴 의미를 알아보고 조형적인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했다.
전시는 9월 26일까지다.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에 코너가 마련돼 있으며, 자료에 대한 기증·기탁, 수집 제보는 상시 가능하다.
정바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