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훈 본부장 |
특히, 충청지역을 비롯한 금강 유역에는 약 200년에서 1300년 빈도로 한 번 올 확률의 극한 폭우가 내렸다. 6월 25일 장마가 시작된 이후로 약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에는 평년 치의 2배가 넘는 795㎜가 내렸고, 부여에만 971㎜라는 기록적인 강수량이 관측됐다.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이 약 1300㎜ 수준임을 고려하면 이번 장마의 위력이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역대 최장기간 지속한 가뭄이 해소된 지 겨우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극단의 가뭄과 홍수의 반복은 기후위기가 지금 우리 눈앞의 현실임을 깨닫게 한다.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장마철과 태풍이 지나가는 6월부터 9월에 집중돼 있고, 나머지 기간의 강수량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더해 계절별·지역별·연도별 강수량 편차가 크고, 산악지형이 많아 비가 오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고 바다로 흘러가는 구조여서 물관리 여건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물을 따로 저장하는 시설이 부족했던 예전에는 장마철 홍수와 봄철 가뭄으로 인한 흉년이 반복돼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이렇게 특정 계절에 집중되는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973년 소양강 다목적댐 건설을 시작으로, 금강에도 대청·보령·용담댐을 순차적으로 건설해 홍수와 가뭄에 대응하고 있다. 더욱이 이상기후로 인한 강수 패턴의 극단적인 변화로 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댐은 홍수와 가뭄을 모두 예방할 수 있는 거대한 물그릇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치수(治水)와 이수(利水)이다. 홍수기 전에 비가 얼마나 올지 예측해서 물그릇을 비우고, 홍수기에 물을 충분히 저장해 하류의 홍수피해를 줄인다(치수). 이후에는 댐에 저장해 놓은 물을 활용해 이듬해 홍수기 전까지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등 필요한 곳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가뭄을 극복한다(이수).
이와 같은 댐의 기능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아서 치수와 이수를 동시에 만족하게 하는 균형 잡힌 물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해 정확한 강우 예측이 어려운 만큼, 과학기술을 총동원해 탄력적으로 댐을 운영해야 한다.
K-water 금강유역본부는 기상청과 협업을 통해 유역 맞춤형 강우예보 체계를 확립하고,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으로 강우량과 유입량을 정교하게 예측해 홍수조절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홍수통제소 등 관계기관과 상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며 댐과 하류 하천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방류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과학적 물관리를 통해 역대 손꼽을 만한 이번 집중호우에도 대청댐의 경우 최대홍수 유입 시점 유입량의 80%를 댐에 저장해 하류 하천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었다. 댐이 없었다면 유입량 전체가 하천으로 흘러 피해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을 것이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장마철 극한 강수량의 최고치 경신 주기는 점점 더 짧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장마가 끝난 시점에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로 강한 강수가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다. K-water 금강유역본부는 앞으로도 빈틈없는 물관리를 통해 집중호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