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은행설립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2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설립전략 보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대전시 제공) |
전국 최초의 행보가 많아 현실성을 두고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미지의 영역'에 가깝단 평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지역 발전의 핵심이 될 현안인 만큼 성공 사례를 만드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단 방침이다.
시는 25일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추진한 대전투자청의 명칭을 대전투자금융(가칭)으로 변경한 뒤 내년 6월 설립하고,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중심은행(벤처기업 특화 전문은행)은 2026년까지 출범시키겠단 계획을 제시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날 대회의실에서 대전투자금융(주)과 기업금융중심은행의 설립 연구용역을 수행한 대전세종연구원·벤처캐피털타운·이와이컨설팅의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추진전략에 대한 보고회를 주재했다.
회의엔 은행설립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윤창현 국회의원(국민의힘)과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한 추진위원회 위원, 워킹그룹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용역을 통해 그려진 대전투자금융(주)의 밑그림엔 전국 최초 지자체가 직접 출자하는 주식회사의 신기술사업금융회사 형태로 설립하겠단 계획이 담겼다. 초기 자본금은 500억 원으로 시가 100% 출자하고 모(母)펀드와 융자, 직접투자를 독려해 운용자산 2895억 원을 꾸려 2030년까지 5000억 원을 운용할 계획이다.
기업금융중심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에 기반을 둔 기업금융특화 모델을 지향할 예정이다. 투자 관련 특화은행을 설립해 기존 은행과는 차별화된 기업금융 혁신모델을 실현한다는 구상으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한다. 시중은행과 같이 예금 업무도 병행하지만 비중은 최소한으로 축소한다.
은행 설립을 위한 초기 자본금은 2500억 원이며 대전시와 민간자본의 참여를 통해 조달하며, 5년 차까지 2조 원의 출자를 필요로 한다. 용역사는 핵심고객을 정의하고 사업을 영위한다는 가정하에 출범 3년 차엔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회를 통해 그동안 베일에 가려졌던 지방은행 설립 계획과 구체적인 추진 전략이 제시되면서 향후 관련 사업도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지만 대외적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대전투자금융의 설립 형태는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방식인 데다, 자금 조달을 위해 구상한 모(母)펀드 방식도 아직까진 활성화된 사례가 많지 않아 대한민국 내 뚜렷한 선도 모델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은행의 역할론과 위험성에 대한 대처방안 역시 나와야 하며 관련법 개정을 위해 금융당국을 설득하는 과정도 큰 과제다.
회의에 참석한 이석훈 대덕벤처파트너스 대표는 "오늘 용역 결과를 보면 대전시가 선수와 감독, 구단주를 모두 담당하겠단 뜻으로 보인다"며 "지역벤처 입장에서는 대전시가 구단주의 역할을 확실하게 맡아주길 바라는 만큼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정립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위험성과 불확실성에 초점을 맞추면 대한민국의 은행들 모두 생겨나지 못했을 것"이라며 "지방정부의 경쟁력은 스스로 일궈야 한다. 지역경제의 이익이 유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