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 '말들의 잔치' 속 시대풍경 들여다보기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 '말들의 잔치' 속 시대풍경 들여다보기

김충일 북 칼럼니스트

  • 승인 2023-07-25 17:15
  • 신문게재 2023-07-26 18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김충일
김충일 북 칼럼니스트
중견 기업의 팀장인 K! 그래! 일상의 피곤함을 수고로 강제하는 하루 살기의 시작이다. 오늘 발표할 프로젝트 사전 점검을 위해 설친 잠을 뿌리치며, 아내가 차려준 '고등어조림'에 얕은 밥을 끝낸다. 옷에 맞춰 밤색 구두를 신고 아파트 앞 정류장에서 버스에 오르니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관한 뉴스가 귀에 접힌다.

오전 일과를 마친 후 팀원들과 예약해 둔 '낙지 덮밥'을 먹는 데 부서의 뉴스 메이커 송 대리가 '이런 해산물 들어간 음식 먹어도 돼?' '아 그렇지, 온통 나라가 이 이야기로 들썩이지, 나도 예외가 될 수 없지!' 언제쯤 '귀에 들리는' 껍질의 민낯이 '귀에 들리지 않는' 진실의 속살로 다가올까. 오후 거래처 담당과의 미팅은 또 다른 미완의 협의 사항을 남긴 채, 마치 몇십 년간의 우리나라 정치 마당처럼… 끝난다.

회사를 나와 독립서점에 들러 얼마 전 주문해 두었던 공지영 작가의 <고등어>를 찾아 들곤 바삐 지하철 입구로 빨려 들어간다. 운 좋게 자리를 잡곤 책을 읽다 '어둠을 밝히기 위한 촛불의 언어가 순치된 이성적 접근과 감성적 대응'이란 변증법적인 문장을 만난다. 잠시 눈을 감고 '멍 때리는 순간' 안내 방송에 놀라 내리고선 집으로 가는 입구를 찾아 '상품화된 육신의 다리'를 움직여 '자본의 계단'을 오른다.

급기야 집에 도착해 단단하게 각(角)진 아파트 문을 열고 '고마워 K야 오늘 하루!' 신발을 조용하고 야무지게 벗어 가지런히 놓는다. "빨리 씻고 식사해요. 수요 장터에 싱싱한 오징어가 나와서 데쳤어요. 참 아까 생선가게 아저씨가 말하길 판매량이 반으로 줄었대요. 앞으로 어떻게 해요." "아빠! 오늘 학교에 아이들이 그러는데 앞으로 생선 먹으면 암에 걸려 죽는대요."



결국 오늘 하루가 업무 외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문제로 인한 먹을거리에 관한 '말들의 풍경'이었구나. K씨는 잠들기 전 잠시 인터넷에서 베크벨(Bq), 삼중수소 등 정보 몇 조각 검색하고 잠자리에 들려고 하니 새삼스럽게 베개가 고기잡이배처럼 보인다. 혹, 꿈속에서 말(言)들의 동물원에 갇히지 않을까. 픽션의 '고등어' 바다를 헤엄치지 않을까. 대천 해수욕장의 머드(mud)축제가 워드(word)축제로 바뀌지 않을까.

현실은 삶의 회로가 터질 정도로 복잡한 '완전 소음', '들끓는 잡음', 무엇을 선택적으로 돌보고 표현하고 연결할지 어떻게, 왜 할지 등에 대한 무명(無明)한 말의 폭력으로 꽉 차 있다. 오늘도 일상의 논픽션을 살아내고 있는 K팀장은 허황된 말(言)들이 말(馬)처럼 뛰고, 소통되지 않는 말들로 넘쳐나고, 행복의 지평이 아득해짐을 알면서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난간에 엉거주춤 두려움에 서성거리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라는 국가적 문제는 일상에 '먹을거리에 대한 두려움'을 흩뿌리며 숱한 거짓과 가짜 뉴스들이 들 끊는 계기가 되었다. 자기 뜻과 맘 맞는 사람들과 링크한 듣고 싶은 말만 듣다 보니 '반향실(Echo chamber)'에 갇히게 되고, 그 메아리를 즐기면서 진위에 대한 판단을 덮어버린다, 하여 '대안적 사실'만이 판을 치고 맹목적 적대(敵對)가 가중되다보니, 그것을 이용해 자기 잇속만을 취하는 세력으로 갈라진 시대 속에 K팀장은 난간에 서서 말없이 기다리고 있다.

그렇지만 K는 벌써 읽어내고 있다. "옳음을 구하는 자가 도리(道理)는 추구하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구하려 하고, 그름을 제거한다는 자가 잘못 된 것은 배척하지 않고 자신에게 거슬리는 것을 제거하려는 자"임을… 그는 기우뚱거리는 일상(논픽션)의 한 난간에 웅크리고 서서 기다리며 균형 맞춰진 제 3의 길을 꿈(픽션)꾸고 있다. 소통할 수 있는 모든 침묵이 고갈되는 날은 분명 온다. 그 날 K팀장은 "소통할 수 있는 모든 침묵과 침묵할 수 있는 소통"이란 '말들의 잔치'에 배심원으로 참석한 '일상의 옹호자'가 되어 매서운 시대의 심판 봉을 두드릴 것이다. 그 날은 온다!

/김충일 북 칼럼니스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