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의회 본회의장 전경. |
회기 내 갈등을 끝내 해결하지 못하고 파행사태가 지속되면서 안 그래도 의회를 향한 따가운 시선과 의회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대전시의회는 24일 제3차 본회의를 열어 '대전시교육청 학생 키 성장 지원 조례안' 등 조례안 26건, 대전시 이동노동자 쉼터 운영 민간 위탁 동의안 등 동의안 2건을 처리한 뒤 제272회 임시회를 폐회했다.
8일간의 이번 회기는 여야 파행사태로 얼룩졌다. 이날 본회의도 민주당 이금선 원내대표와 조원휘, 송대윤, 김민숙 의원이 불참한 채 진행됐다. 이번 회기에서 갈등을 매듭짓는 게 시민에 대한 도리라는 공감대가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형성됐으나, 결국 양당 간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회기 마지막 날까지도 공방은 이어졌다. 국민의힘 송활섭 운영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송대윤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류제출 요구 조례안'을 상정하지 않은 데 대한 입장을 밝혔다. 송활섭 운영위원장은 "안경자 의원이 조례안 서명을 철회했고 경기도와 광주에만 관련 조례가 제정돼 실익이 있는지 따져볼 시간도 필요했다"고 말했다.
자신을 향한 민주당의 일방적인 조례 미상정 비판에 대해선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게 안타까울 따름"이라며 "만일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면 상정한 뒤 부결처리했을 것이다.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시행함이 적절하다고 판단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민주당 의원들은 곧바로 기자실을 찾아 국민의힘을 비판했다. 이금선 원내대표는 "임시회가 폐회되면서 농성을 잠시 중단하려 했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며 "의원들의 고유 권한인 조례 제정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 지금 상황이 계속될 경우 농성을 멈출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파행은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의 이권 개입 의혹을 직격한 현수막을 놓고 양당 간의 입장차가 갈리면서 시작됐다. 여기에 개원 이후부터 쌓인 갈등과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걷잡을 수 없는 파행사태로 치달았다.
책임 유무를 떠나 회기 내 파행사태를 매듭짓지 못하면서 의회 내 갈등 조정 능력에 의문부호가 달리는 것은 물론 의원들의 책임감과 신뢰도 하락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상래 의장 중재 하에 국민의힘 김선광, 민주당 이금선 원내대표가 사태 해결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빠른 시일 내 해결될지는 미지수다.
이상래 의장은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파행사태를 마무리 짓기 위해 양당 원내대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사태를 얼른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