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안). [출처=산업통상자원부] |
당장 특화단지 유치로 시너지 효과를 노렸던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추진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기업들의 대전 정착을 유도할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지금의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구 실증과 인재 양성과도 결합한 포괄적인 과학특구로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대전시는 정부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 실패 후 곧바로 자체적인 반도체산업 육성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화단지 공모 결과와는 별개로 기존의 반도체산업 육성계획을 다듬어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방침 아래 우수한 연구역량과 인재풀을 활용한 R&D 혁신형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하지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아닌 지자체 수준의 육성계획이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민선 7기에서도 정부의 K-바이오랩 허브 유치 실패 후 대전형 바이오랩 허브를 자체적으로 추진했으나, 적잖은 한계가 있었던 게 사실이다.
당장 특화단지 유치 실패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추진에 타격을 줄 수도 있다. 특화단지 유치로 산단 조성 시기를 앞당기고 각종 인센티브를 바탕으로 기업 유치에 시너지 효과를 노렸던 기존 계획이 틀어졌기 때문이다. 때문에 특화단지 유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조성의 차질 없는 추진에 지역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시의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계획안. [출처=대전시] |
조승래 의원은 7월 21일 대전시의회를 찾아선 기업 유치를 위한 실질적인 여건 조성과 연구개발특구의 역할·개념 확장 등을 주장하며 특별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단순 재정 지원의 개념을 넘어 과학수도 대전 특별법을 만들어 대전에 맞는 설계도를 그리고 중앙으로부터 권한을 이양받아 규제질서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연구개발특구도 인재특구, 실증특구로 역할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대전시의회에서도 특화단지 유치 실패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박종선 의원(유성1·국민의힘)은 본회의 시정질문에 나서 특화단지 유치 실패가 국가산단 추진 동력의 약화로 이어지진 않을지 우려하며 대전시의 차별화된 전략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이장우 대전시장은 "반도체 특화단지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별개의 문제로 국가산단은 정상적인 절차로 가고 있고 기본 취지에 맞춰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며 "개발제한구역 문제도 신청 시 국토부, 농림부와 절대농지 부분에 대해 협의를 이미 마쳤다. 국가산단을 차질 없이 명품 반도체 산업단지로 조성하겠다"고 답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